윤석열 정부 초등 사교육비 21% 증가…의대 쏠림 더 극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킬러문항' 배제 등 사교육비 경감을 내세운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에도 학원비를 줄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의대반' 등 의대 쏠림 현상도 극심해지고 있으나 이에 대응할 정책이 없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8일 통계청의 연간 가계동향조사 등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미혼자녀가 있는 부부의 월 평균 사교육비 지출(학생학원교육 지출)이 41만4638원으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킬러문항’ 배제 등 사교육비 경감을 내세운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에도 학원비를 줄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의대반’ 등 의대 쏠림 현상도 극심해지고 있으나 이에 대응할 정책이 없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8일 통계청의 연간 가계동향조사 등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미혼자녀가 있는 부부의 월 평균 사교육비 지출(학생학원교육 지출)이 41만4638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만5264원(3.82%) 늘어났다.
특히 입시철인 4분기(10∼12월)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1분기에는 월 평균 40만7286원을 지출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39% 늘어났으나, 4분기에는 41만6269원을 써 전년 동기보다 6.6% 증가했다.
연간 가계동향조사의 학생학원교육비 통계는 교육부가 산출하는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참조된다. 일종의 선행지표인 셈이다. 학생학원교육비에는 영유아와 엔(N)수생 등이 포함되고, 학생 단위가 아닌 가구 단위로 사교육비 지출을 계산한다.
이 때문에 오는 3월 발표할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역시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윤석열 정부에서 사교육비는 2년 연속 늘어났다. 2021년에서 2023년까지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8.33% 증가했다. 초등학생 21.09%, 고등학생 17.23%, 중학생 14.72% 순이었다. 김문수 의원은 “전국으로 확산한 ‘초등의대반’ 등에 대한 정책 수단은 갖추지 못한 채 ‘킬러문항’과 ‘사교육 이권 카르텔’ 등만 강조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우연 기자 azar@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박찬대 “최상목, 오전 중 마은혁 임명 안 하면 권한대행 인정 못 해”
- 쿠데타 재발 막으려면 방첩사 ‘절대 충성 DNA’부터 바꿔야
- ‘극우 캡틴아메리카’ 구속 송치…미군 신분증 위조 혐의 추가
- 국힘 ‘실세’ 의원 아들, ‘던지기 수법’ 마약 찾다가 경찰에 적발
- 의대 갈등 해법 없이 입학식…신입생 “수업 제대로 운영되겠나”
- 한동훈 “대통령 되면 개헌하고 3년 뒤 물러날 것”
- 명태균, ‘조기대선 태풍’ 조짐…국힘 “당 초토화 특검” 반발
- 최상목 대행, 마은혁 언제 임명할 건가? [2월28일 뉴스뷰리핑]
- 김상욱 5·18묘지 참배, 감사장 준 유족회…“민주주의 가치 지켜”
- 탄핵 방청 시민이 꼽은 ‘이 순간’…“홍장원 90도 인사, 윤석열 고개 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