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수출, 트럼프 불안 속 소폭 증가세 유지(상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확정하고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한 가운데, 우리나라 수출은 2월 초 불안한 증가 흐름을 유지했다.
관세청은 2월1~10일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이 148억 8000만달러(약 21조 60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늘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미국 수출 줄고 수입 늘며 무역흑자폭 감소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확정하고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한 가운데, 우리나라 수출은 2월 초 불안한 증가 흐름을 유지했다.
주요 품목 중 반도체(28억달러)와 승용차(14억달러) 수출은 각각 1.8%, 27.1% 증가했으나 석유제품(11억달러)와 철강제품(9억달러)은 각각 22.3%, 8.8% 감소했다. 또 대중국 수출(30억달러)은 4.5% 늘어난 반면 대미국 수출(26억달러)은 8.6% 줄었다.
지난달(1월) 16개월 만의 수출이 감소한 데 이어 2월에도 불안한 출발이다. 수출액은 전년대비 소폭 늘었지만 조업일수가 6.5일(토=0.5일)에서 7일로 늘었다는 걸 고려하면 0.8%란 증가율은 사실상 감소에 가깝다. 이 기간 조업일수 변화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액은 전년대비 6.4%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71억 1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0.3% 증가했다. 수출액 증가 폭이 더 컸지만 반도체·기계류 등 수출에 필요한 중간재 수입 확대와 함께 무역수지는 22억 3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통상적으로 한국의 현 수출입 무역구조상 월초 적자가 월말이 되면 흑자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수출 기업이 지난해 10월 당선되 올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발 관세 압력 영향도 일부 감지됐다. 이 기간 대미 수출액(26억달러)은 8.6% 줄어든 반면 대미 수입액(21억달러)은 21.0% 늘며 대미 무역수지 흑자 폭이 작아졌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트럼프의 관세 압력의 주요 빌미인데, 그 폭이 다소 완화한 것이다.
김형욱 (ne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의 관세폭탄, 머스크에 직격탄…“재산 121조원 날라가
- 美 “내달 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 부과”(상보)
- 할머니 “우리 애 어딨나”…살해 여교사 “없어요, 몰라요” 대답
- ‘초등생 살해’ 교사, 인공호흡기 착용…“호전되면 긴급 체포”
- "중국인에 루이비통 그렇게 팔지 마" 백화점에 경고…왜?
- "지금 심신미약 상태"…故오요안나, 사망 24일 전 라방 모습
- [속보]이상민 "대통령실 탁자에 단전·단수 쪽지 몇개 봐"
- 연구에 전념하도록…이공계 대학원생 월 110만원 지급
- 기상캐스터 출신 김혜은 "故 오요안나 사건, MBC에 바라는 건…"
- '스피드스케이팅 단거리 간판' 차민규, 남자 1000m 은메달 수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