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안보 우려'로 딥시크 이용금지…주요국도 유사 움직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만 정부가 각 부처·기관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深度求索)의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1일 대만 중앙통신사(CNA)와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전날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도 이용 차단, 네덜란드 주의 경고…주요국 예의주시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대만 정부가 각 부처·기관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深度求索)의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1일 대만 중앙통신사(CNA)와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전날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며 "정보 보안 위험을 막기 위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부는 또 2019년 행정원 규정인 '국가 사이버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제품 사용 제한 원칙'에 따라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만 정부의 딥시크 AI 사용 금지 조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에게 적용된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금지 조치가 적용된다고 디지털부는 덧붙였다.
딥시크 돌풍에 세계 주요국들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딥시크가 돌풍을 일으키자 미국 기술기업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급부상하면서 관련주들이 크게 출렁였다.
inishmor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李정부 첫특사 조국 부부·윤미향 포함…최지성 등 경제인도(종합) | 연합뉴스
-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나이 속여 접근 | 연합뉴스
- 유시민, '강선우 갑질 의혹' 제기 보좌관에 "일 못해 잘려" 주장 | 연합뉴스
- 대전 교제살인 피의자는 26세 장재원…경찰, 신상 공개 | 연합뉴스
- 英배우 에마 톰슨 "트럼프가 27년 전 데이트 신청했다" | 연합뉴스
- 또 낙서로 얼룩진 경복궁…매직으로 '트럼프' 쓴 70대 붙잡혀(종합) | 연합뉴스
- 모스 탄 '입국시 통보' 요청…폭발협박 日변호사 사칭범 추적 | 연합뉴스
- 어린이집서 백설기 먹던 2살 질식사…담임교사·원장 송치 | 연합뉴스
- MLB 첫 여성 심판 파월, 주심 데뷔전도 깔끔하게 마무리 | 연합뉴스
- '동네 빌런' 저커버그…저택 11채 사들여 '그들만의 왕국' 건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