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은 자폐증 유발" 날 선 트럼프…보건원 예산 '칼질' 나서나
바이러스 연구 지원 중단 "검토 중", 연구자들 "옮기겠다"
'반과학적' 발언을 쏟아냈던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의 제47대 대통령이 미국 연구자들이 긴장하고 있다. 1기(2017~2021) 집권 당시에 그랬던 것처럼 연방정부의 긴축 재정을 목표로 기초연구 R&D(연구개발) 예산을 줄일 것이라는 우려다. 대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불신을 드러냈던 의학·공중보건 분야 기초연구가 첫 타깃이 됐다.
22일(현지시간)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직후 미 국립보건원(NIH)에 보조금 검토 회의 취소, 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 중단, 채용 동결, 무기한 이동 금지를 명령했다.
이에 따라 NIH는 연구자 교육 워크숍을 중단하고, 보조금 관련 회의 무산을 통보했으며, 구인 광고를 철회하고, 학회 발표를 위한 여행조차 취소하도록 했다. 또 상위 기관인 보건복지부(HHS)는 NIH 구성원들에게 규정과 지침, 보도자료는 물론 SNS(소셜미디어)까지 게시하지 못하도록 했다. NIH 고위인사는 사이언스에 "집단 행정명령과 지시의 영향은 파괴적"이라고 말했다.
과학계의 우려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하자, NIH의 위기는 현실화됐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NIH 예산 28% 삭감'을 공약했고, 2기 정부의 HHS 장관에 지명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는 대표적인 백신 회의론자다.
코로나19가 바이러스 연구에서 비롯됐다며, 관련 연구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중단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 보도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러스 '기능 향상(gain-of-function)' 연구를 위한 연방 자금 지원을 일시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기능 향상 연구는 바이러스가 빠르게 퍼지는 경로, 백신을 회피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기 위해 통제된 환경의 실험실 내에서 바이러스 기능을 조절하는 연구다. 바이러스 연구에서는 필수적이지만, 미 공화당 일각에선 기능 향상 연구가 코로나19 대유행의 원인이라고 의심해 왔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NIH 원장 후보인 제이 바타차랴 박사도 기능향상 연구 중단을 지지해 왔다.
미국 과학자단체 우려하는과학자연합(Union of Concerned Scientists)의 그레첸 골드만 회장은 네이처에 "트럼프 행정부의 메시지는 명확하다"며 "정부가 과학에 기반한 정책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약화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선우은숙 언니, 먼저 호감 표현?"…유영재 무좀약 발라준 이유는 - 머니투데이
- 노홍철, 코피 쏟더니 결국 쓰러졌다…"기억이 없어"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송혜교 "나체는 창피하니까"…목욕탕 가면 하는 행동 - 머니투데이
- 박정민·블랙핑크 지수, 몰래 데이트?…"단둘이 놀이공원 다녀와" - 머니투데이
- '가족 사랑' 그 투수가 불륜이라니…상대는 'AV 여배우', 日 발칵 - 머니투데이
- 세계서 가장 먼저 태어난 아이…사과 1개 무게 극복하고 '첫돌' - 머니투데이
- 무더위 속 전국 곳곳에서 '정전' 발생…인명피해는 없어 - 머니투데이
- 진태현 "러닝 크루면 러닝만 해라"…무슨 일? - 머니투데이
- 모기가 안보인다 했더니…역대급 폭염에 '씨'가 말랐다 - 머니투데이
- 우리도 4% 뛴 일본처럼 역사적 신고가?…이번 주 증시 흔드는 변수 셋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