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테크, 총 73억원 규모 배터리 검사 장비 공급 계약 체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테크는 환경부와 54억2300만원, 경남테크노파크와 18억9000만원 규모 배터리 검사 진단 장비 및 사용후 배터리 팩 처리설비 공급계약을 각각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홍영진 민테크 대표는 "이번 계약으로 이차전지 검사 진단 분야에 있어 민테크의 기술 선도성을 증명했다"며 "특히 환경부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에 공급되는 민테크 장비는 향후 배터리 재사용 기업 및 연구기관 등이 배터리 재사용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테크는 환경부와 54억2300만원, 경남테크노파크와 18억9000만원 규모 배터리 검사 진단 장비 및 사용후 배터리 팩 처리설비 공급계약을 각각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총 3건의 계약 총액은 73억1300만원으로 지난해 매출액의 41.7% 해당한다.
회사 측은 환경부가 주관하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재사용 실증시험 연구 장비 구매·설치' 사업과 경남테크노파크 주관의 '재사용 배터리 모듈 진단평가시스템' 및 '재사용 배터리 팩 자동적재시스템' 사업 공급사업자로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세 건의 계약 모두 2025년 내에 공급이 완료된다.
홍영진 민테크 대표는 “이번 계약으로 이차전지 검사 진단 분야에 있어 민테크의 기술 선도성을 증명했다”며 “특히 환경부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에 공급되는 민테크 장비는 향후 배터리 재사용 기업 및 연구기관 등이 배터리 재사용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지정…'반도체 특화도시' 조성 속도
-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녹색채권 5兆 돌파…“전기차·폐배터리 등 투자”
- [단독] 중고거래 배송 중 파손은 판매자 책임…분쟁 조정 가이드라인 나온다
- 새해 대형병원 차세대 사업 막 올라…수주전 후끈
-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디지털 전문성이 차세대 리더 요건 급부상
- 韓권한대행, 여야 합의 없이 헌법재판관 임명 안한다
- 美 5G 가입건수 우상향…국내 장비사 수혜 기대
- “中企·소상공인, 금융 안전망될 것”…중기부, 26.5조 정책자금 공급
- 연말정산 홈텍스 '배수진'…금융권 인증 고객 쟁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