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생산 중단했던 국내 유일 좌약 해열제 공급 재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열제를 삼킬 수 없는 어린아이와 노인 환자 등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좌약 해열제가 다시 시중에 유통된다.
한미약품은 최근 국내 유일의 좌약 생산 수탁 업체 HLB제약과 '복합써스펜좌약' 공급 재개를 위한 계약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영숙 회장 “환자 위해 생산 방법 찾아야” 주문
해열제를 삼킬 수 없는 어린아이와 노인 환자 등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좌약 해열제가 다시 시중에 유통된다.
한미약품은 최근 국내 유일의 좌약 생산 수탁 업체 HLB제약과 ‘복합써스펜좌약’ 공급 재개를 위한 계약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복합써스펜좌약은 1991년 출시된 소아 환자 대상 해열·진통제다. 판매 수익보다 생산 비용이 더 드는 등 수익성 문제로 지난 6월 생산을 중단했다가 환자들의 요구가 이어져 다시 공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회사는 해당 의약품 재생산을 앞두고 제품 디자인을 새롭게 변경해, 11월 전국 약국에 공급될 예정이라고 했다.
앞서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은 “입으로 해열제를 삼키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복합써스펜좌약은 꼭 필요하다”며 “이익을 많이 볼 생각하지 말고 생산을 다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라”고 지시했고, 이에 공급 재개를 위한 실무진 재검토가 시작됐다. 이후 한미약품과 수탁사가 전향적인 단가 협력에 합의했다.
회사는 이번 결정에 대해 ‘인간 존중’ 경영 이념을 실현하려는 결단과 생산 수탁 업체와의 전향적인 단가 협력, 의약계·환자들의 사회 요구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진 것이라고 했다. 한미약품 박재현 대표이사는 “창업 세대 대주주와 실무진 간 이뤄진 허물없는 소통이 이뤄낸 결과”라며 “앞으로도 한미약품이 잘할 수 있고 회사만이 해낼 수 있는 일들에 대해서 더욱 깊이 고민하고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시중 다른 제약사들의 소아용 해열·진통제도 수익성 악화로 생산이 중단되거나 공급이 지연되는 문제가 잇따르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르포] 삼겹살에 소주 한 잔, 필리핀 마닐라에 녹아든 하이트진로
- 래미안 원베일리 165억원 최고가 거래… 매수자는 메가커피 창업자
- 간격 넓고 편의용품도 주고… ‘프리미엄 이코노미’ 늘리는 LCC
- SK하이닉스, 엔비디아와 HBM4 협상 마무리 단계… ‘HBM 1위’ 자리 굳힌다
- 감히 내 아들을 탈락시켜?… 트럼프, ‘하버드 때리기’ 속내는
- 삼성전자,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확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게재
- 카리나 입은 ‘빨간색 숫자 2′ 바람막이, 70만원 넘지만 ‘품절 임박’
- [메드테크, 우리가 국대다]⑦ ‘뇌가 먹는 약’ 디지털 치료제…뇌졸중 후유증 정복한다
- 美 “중국산 항만 크레인, 안보에 위협”… 韓에 기회올까
- 이준석 ‘지역별 최저임금’ 공약… “임금 현실화” vs “지방소멸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