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저, 장낙대교 건설 승인, 환경단체 반발 기자회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저대교와 장낙대교가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의 건설 승인(국제신문 지난달 24일 온라인 보도)을 받은 가운데, 부산 지역 환경단체가 철새도래지 훼손을 우려하며 국가유산청의 이 같은 결정을 규탄했다.
이들은 "낙동강 하구는 국가자연유산인 철새도래지다. 그 핵심 지역을 통과하는 교량 추가 건설은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며 국가유산청의 대저대교·장낙대교 건설 승인을 비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저대교와 장낙대교가 국가유산청(옛 문화재청)의 건설 승인(국제신문 지난달 24일 온라인 보도)을 받은 가운데, 부산 지역 환경단체가 철새도래지 훼손을 우려하며 국가유산청의 이 같은 결정을 규탄했다.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은 2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내 교량 건설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낙동강 하구는 국가자연유산인 철새도래지다. 그 핵심 지역을 통과하는 교량 추가 건설은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며 국가유산청의 대저대교·장낙대교 건설 승인을 비판했다.
앞서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위원회는 지난달 24일 대저대교와 장낙대교 건설을 승인했고, 사업은 본격 궤도에 올랐다. 시는 2029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이달부터 두 교량 건설 사업을 위한 보상 업무와 함께 공사에 돌입하기로 했다. 다만 엄궁대교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지 못해 허가 대상에서 제외됐다.
시민행동은 초고령화·초저출산 사회가 도래해 대교 건설 필요성은 시의 판단만큼 높지 않으며, 부산시의 대안인 철새 대체서식지 조성은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1997년 을숙도 등을 시작으로 철새 대체서식지가 다수 조성됐지만, 낙동강 하구에 도래하는 전체 조류의 수는 감소했다는 것이다. 또 사상대교 우선 건설 등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는 대안이 존재한다고 제시했다. 시민행동 관계자는 “낙동강 하구 난개발을 막기 위해 법적 소송을 포함한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시는 부산 지역에 등록되는 차량은 연간 약 3400대씩 증가 중이고, 철새의 수가 줄어드는 주원인은 기후 변화라고 설명한다. 또 사상대교의 경우 같은 위치에 경전철이 들어설 예정이라 건설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강조한다. 시 관계자는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