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마련한 새 집인데"…신축 아파트 '무더기 하자' 까닭은

남궁민관 2024. 7. 22.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30일 입주 개시와 동시에 누수, 벽지·타일 마감 미비 등 하자 논란이 불거진 전남 광양 A아파트가 다음달 말까지 하자보수를 마무리 짓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지난 5월 말 입주를 시작한 전남 무안군 B아파트는 사전점검에서 5만 8000건에 육박하는 하자가 발생해 시공사 대표가 사과문까지 발표했다.

지난 4월 말 입주를 시작한 대구 북구 D아파트는 누수 등, 다음달 말 입주를 앞둔 경남 양산시 E아파트는 외벽 등 하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월 30일 입주와 동시에 하자 논란 광양 A아파트
당초 19일까지 예정된 보수 기간, 다음달 말까지 연장
올 들어 지방 신축 아파트 곳곳 부실시공 논란 반복
"팬데믹 공사일정 틀어진 탓…국내 숙련공 부족도 과제"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지난달 30일 입주 개시와 동시에 누수, 벽지·타일 마감 미비 등 하자 논란이 불거진 전남 광양 A아파트가 다음달 말까지 하자보수를 마무리 짓기로 했다. 시공사측은 당초 19일까지 보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지난 17일 입주민들과의 미팅에서 보다 완벽한 시공을 위해 보수 기간을 연장키로 합의하면서다. 입주민들은 입주 지연에 따른 물질적·정신적 피해 보상안으로 전 세대에 중도금 이자에 준하는 수준의 보상금 지급을 시공사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주민이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린 전남 광양 A아파트 하자.(사진=온라인 커뮤니티)
21일 업계에 따르면 A아파트 외에도 올해 입주를 시작했거나 예정인 지방 신축 아파트 단지에서 대규모 하자가 발생한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5월 말 입주를 시작한 전남 무안군 B아파트는 사전점검에서 5만 8000건에 육박하는 하자가 발생해 시공사 대표가 사과문까지 발표했다.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대구 달서구 C아파트 역시 앞서 진행한 사전점검 당시 엘리베이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규격에 맞지 않는 비상계단을 깎아내는 등 하자로 입주민들의 원성을 샀다.

지난 4월 말 입주를 시작한 대구 북구 D아파트는 누수 등, 다음달 말 입주를 앞둔 경남 양산시 E아파트는 외벽 등 하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일부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지어진 아파트는 사지 마라’라는 웃지 못할 농담까지 돌고 있다. 건설업계에선 실제로 팬데믹이 최근의 부실 시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 중소 건설사 대표는 “팬데믹 기간 건설자재 공급이 원활치 않다 보니 공사 일정이 꼬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며 “통상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할 공사가 촉박한 공기(공사기간)에 쫓겨 말미에 한꺼번에 몰리면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부실 시공의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히는 국내 건설업 기능인력의 고령화 및 감소 추세는 해소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건설근로자공제회 경영전략본부 조사연구센터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건설업 기능인력은 145만 6000명으로 전년동기(150만 6000명) 대비 5만명이 줄었다. 지난 2022년 6월 160만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년 사이 무려 15만명 가량의 기능인력이 줄어든 셈이다. 여기에 2014년 48.7세 수준이었던 건설업 기능인력의 평균 연령은 2021년 50.2세로 50대에 접어들었고 지난해에는 51.1세로 뚜렷한 고령화 추세를 보였다. 올해 6월 기준 전체 기능인력 중 50대 이상이 60.9%(88만 7000명)에 달하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국어가 익숙지 않은 외국인 비숙련 인력 고용이 꾸준히 늘어나는 모양새다.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말이 잘 통하지 않아 공사 현장에서 정확한 시공 내용은 물론 주의사항 등을 전달하는 것조차 녹록지 않아 제대로 작업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그나마 이들도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지방으로 갈수록 쓸만한 인력을 구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고 지적했다.

남궁민관 (kunggij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