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5곳 출범…청정수소 생산 국산화 목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청정수소 생산기술 100% 국산화를 목표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5대 분야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출범했다고 17일 밝혔다.
중점연구실은 분야별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하고 수소 기술개발 성과를 모아 기업 등 수요자에게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청정수소 생산기술 혁신포럼'을 열고 연구실 출범을 알리며 전문가들과 R&D 방향을 논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청정수소 생산기술 100% 국산화를 목표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5대 분야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출범했다고 17일 밝혔다.
중점연구실은 분야별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하고 수소 기술개발 성과를 모아 기업 등 수요자에게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운영한다.
5대 분야는 ▲ 알칼라인 수전해 ▲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 고체산화물 수전해 ▲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 액상유기수소운반체 등이다.
알칼라인 수전해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주관하며 PEM 수전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주관으로 운영된다.
이들 분야는 단기간 내 상용화가 가능해 개별 연구기관이나 기업과 공동연구를 중점 진행하는 방향으로 운영한다.
고체산화물 수전해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을 주관으로 11개 기관이 참여하며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는 한국재료연구원 주관 하에 23개 기관이 참여한다. 액상유기수소운반체 분야는 한국화학연구원 주관 6개 기관이 참여한다.
이들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대용량 시스템을 빠르게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청정수소 생산기술 혁신포럼'을 열고 연구실 출범을 알리며 전문가들과 R&D 방향을 논의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국가 에너지 자립률 향상과 무탄소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에 기여하고자 수소 기술개발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각계 전문가와 청정수소 생산기술 혁신 방안을 지속 논의하고, 정부 지원이 효율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hj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부천 노래방서 50대 여성 살해하고 시신 유기한 30대 검거 | 연합뉴스
- 수원 고층 아파트서 엘리베이터 점검하던 20대 추락해 숨져(종합) | 연합뉴스
- "내일이 월급날인데 너무 배고파" 배달 음식 먹튀 20대 실형 | 연합뉴스
- 후임병에 "나는 폐급" 복창시키고, 잠 못 자게 한 선임병 | 연합뉴스
- JMS 피해자 메이플, 홍콩 수영선수 출신 연예인 팡리선과 결혼 | 연합뉴스
- 경의중앙선 용문역 에스컬레이터서 넘어짐 사고…13명 부상(종합) | 연합뉴스
- 고민시, 생일 맞이해 서울아산병원에 1억원 기부 | 연합뉴스
- 홍장원 "조태용, 생 거짓말·말바꾸기…CCTV 동선 다 공개하라" | 연합뉴스
- '화재로 6명 사망·27명 부상' 반얀트리 호텔 공사장은 어떤 곳 | 연합뉴스
- 佛르몽드 "한국 '실패한 쿠데타'에 무속인 개입"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