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사회·과학만 수능 출제…"내 수업 없어질라" 교사들 술렁

권한울 기자(hanfence@mk.co.kr), 서정원 기자(jungwon.seo@mk.co.kr) 2024. 7. 14. 17: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락가락 입시정책
2028 수능 탐구 선택 사라져
내신 유리한 과목 쏠림 우려
출제 포함 안된 역사·물리 등
학생에 외면받을 가능성 커져
고교학점제로 부담까지 가중
"일부 교사들 전출가거나
전공 아닌 과목 가르칠수도"

"2028학년도부터는 학생들이 윤리와 역사 과목을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요. 나이가 많은 해당 과목 교사는 퇴직이 앞당겨질 수도 있고요."

정부가 2028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험생들이 선택과목 없이 통합형으로 시험을 치르도록 대입 제도를 개편한 이후 사회·과학탐구 교사들 사이에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탐구영역은 사회·과학 17개 과목 가운데 2개를 택해 치렀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1학년 때 배우는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에서 문제가 출제된다. 수능과 관련 없는 과목들은 학생들에게 외면받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매일경제가 인터뷰한 현장 진로·진학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와 2028 대입 개편안이 이대로 간다면 내신 점수 따기에 유리한 과목, 수능에 도움이 되는 과목으로 학생들이 몰릴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해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제도다. 2028 대입 개편안은 이 취지와 정면으로 배치되고, 그 부작용으로 외려 고교학점제 시행 전보다도 수강 과목의 다양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최진규 충남 서령고등학교 교사는 "고교학점제와 2028 대입 개편안은 상극"이라며 "현장에서 우리(교사들)가 봤을 때는 이렇게 하면 안 되는데 참 걱정"이라고 했다.

사회·과학 과목 수능 출제 범위가 고등학교 1학년 때 배운 내용으로 한정된다면 2~3학년 수업은 중요성이 떨어진다. 지금은 한국지리, 경제, 물리학Ⅰ, 화학Ⅰ 등 고등학교 2~3학년에서 배우는 과목 중 최대 2과목을 선택해 수능에 응시할 수 있다. 하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모든 학생이 사회·과학 선택과목이 없는 통합형 수능을 치른다. 1학년 때 배운 통합사회, 통합과학만 출제 범위다. 2~3학년 때 다양한 과목을 선택해 수업을 들을 수 있지만 수능에는 큰 도움이 안 된다.

박준열 서울 건국대사범대부속고등학교 교사는 "수강 인원이 많아 좋은 내신 성적을 받기 쉬운 소위 '꿀 과목'이 인기를 끌 것"이라고 했다. 과학 과목 중에서는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이 대표적이다. 지금도 2024학년도 수능 기준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과목 응시자 수는 각각 15만명 안팎으로 과목 응시자 수가 각각 4000명 내외인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와 30배 이상 차이가 난다. 개별 학교의 내신 과목 선택 비율도 비슷하다. 고교학점제로 과목이 더 다양해지고 학생이 재량으로 선택할 수 있는 비중도 커지지만, 정작 수능과 연계되지 않으니 점수 따기 쉬운 과목으로 쏠림이 심화할 것이라고 현장 교사들은 본다.

인천의 한 일반고 교사 A씨는 수능 출제 범위인 통합사회와 연계도가 높은 과목도 쏠림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수능에서 어떻게 출제될지 샘플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정치와 법·한국지리와 관련된 내용이 수능 통합사회 문항에 많이 반영된다면 2~3학년 때도 진로보다는 이런 과목들을 위주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일각에선 사회·과학 과목을 듣는 학생 수 자체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고교학점제하에서는 3년 간 192학점 중 공통 이수 과목 48학점을 제외한 144학점을 어떻게 채울지 학생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학교의 여건이 허락하는 한 2~3학년 때 '문학과 영상' '영미 문학 읽기' 등 국어·수학·영어과 과목 위주로 '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런 '과목 쏠림' 전망에 내후년부터 학생 수요에 따라 수업을 개설해야 하는 고교 현장에서는 벌써부터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수강 신청한 학생들이 적은 과목은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교사 배치는 어떻게 해야 할지 등이다.

수요가 없는 일부 사회·과학 과목 교사들 사이에선 다른 학교로 전출을 가거나 여러 학교를 돌아다니며 순회 수업을 해야 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변 학교 수요를 모두 합해도 수강 학생이 없는 과목 교사는 최악의 경우 전과해 본인 전공과 다른 과목을 가르쳐야 한다. 물리 교사 C씨는 "원래도 과학의 경우 물리학은 선택자가 적고 생명과학이 많았는데 학생들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학교에 따라 전공이 아닌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늘어나고, 학생들도 학력 저하 현상을 겪을까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권한울 기자 / 서정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