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 사이 두 배 커져"...상위 10% 쌍둥이 가진 女, 거대한 배 화제

정은지 2024. 6. 23. 11: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배가 거대한 모습을 모여 화제다.

영국 일간 더선 보도에 따르면 레이첼은 5년간의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받았고 6번의 임신과 5번의 유산 끝에 쌍둥이를 임신했다.

레이첼에 따르면 자신의 배는 이상하리만치 계속 커졌고 어느날 하룻밤 사이에는 두 배로 불룩해졌다.

레이첼의 만삭의 배가 유난히 커서 그의 아기의 성별을 말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쌍둥이 아냐" 시험관 아기시술 5년, 6번의 임신과 5번의 유산 겪은 후 가진 쌍둥이, 남다른 크기로 화제
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배가 유례없이 거대한 모습을 모여 화제다. tiktok/@ditchbricknell80

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배가 거대한 모습을 모여 화제다.

영국 일간 더선 보도에 따르면 레이첼은 5년간의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받았고 6번의 임신과 5번의 유산 끝에 쌍둥이를 임신했다. 이 기간동안 몸에 찌른 바늘만도 수천 개, 먹은 약만도 수백 개다.

그런 레이첼에게 힘들게 찾아온 쌍둥이. 뱃속에 자리잡은 그 크기가 세쌍둥이를 임신한게 아니냐 할 정도다. 온라인에 공유된 영상에서 레이첼은 자신의 배 크기에 충격을 받은 듯 눈썹을 치켜들고 있다. 영상에는 "상위 10% 큰 쌍둥이를 가진 만삭 때"라는 문구도 눈에 띈다.

그의 배 크기에 사람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고, 많은 사람들이 댓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공유했다. 이 영상은 474,500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레이첼에 따르면 자신의 배는 이상하리만치 계속 커졌고 어느날 하룻밤 사이에는 두 배로 불룩해졌다. 임신 기간 동안 잠을 잘 못자고 너무 무거운 몸 때문에 휠체어를 탔어야 하는 등 모든 것이 힘든 여정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레이첼의 배가 튼살로 덮여 있지 않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했다. 한 사람은 "튼살이 없는 유전자를 가진 축복받은 아이", "축하해요! 튼살이 하나도 없다" 등 반응이 쏟아졌다.

이에 레이첼은 자신의 튼살이 왜 없는지 모르겠며 "솔직히 유전적인 영향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레이첼은 36주 만에 제왕절개로 쌍둥이를 출산했고 수술에서 회복 중이다.

배 모양 보고 성별 맞추기, 정말 맞을까?

레이첼의 만삭의 배가 유난히 커서 그의 아기의 성별을 말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들의 말마따나 '아기 범프 이론(baby bump theory)'이라는 것이 있다. 임신한 여성의 배 모양을 보고 딸이냐 아들이냐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혹이 높고 앞쪽에 있으면 남자아기일 가능성이 높다. 더 낮고 좀더 옆으로 퍼진 배는 여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 모양에 의해 태아 성별을 알 수 있고 맞는 말일까? 임산부의 배 모양을 결정하는 데는 두가지 변수가 있다. 첫 번째는 아기의 크기다. 평균적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출생 시 몸무게가 더 나간다. 이로 인해 남아가 형성하는 배가 약간 더 커질 수 있다. 다만 이 작은 무게 차이로 배 모양 자체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두 번째는 자궁 내 태아의 위치다. 태아의 등이 엄마의 앞쪽과 나란히 있으면 배가 바로 튀어나오게 된다. 아기의 등이 엄마의 등과 평행하면 복부가 더 평평해 보인다. 태아가 취하는 자세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모양이 남아 또는 여아를 나타낸다는 것은 잘못된 믿음이다.

아기의 성별을 알 수 있는 유일한 확실한 방법은 초음파 검사, 양수 검사 또는 태반에서 세포 샘플을 채취하는 융모막 융모 샘플링을 통한 의료 검진이다. 후자의 두 가지 검사는 태아의 성별 관련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정은지 기자 (jeje@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