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극저온에서 더 강력한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고성능 2차원 반도체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고성능 전자 소자는 초고속 구동이 가능해 5G 대역을 넘어 6G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저온으로 갈수록 소자 성능이 대폭 개선돼 양자 컴퓨터의 양자 제어 IC(Integrated circuit)와 같이 극저온 고주파수 구동 환경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고성능 2차원 반도체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초고속 구동이 가능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성능이 개선돼 고주파수 대역과 극저온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이가영 교수 연구팀이 실리콘의 전자 이동도와 포화 속도를 2배 이상 뛰어넘는 2차원 나노 반도체 인듐 셀레나이드(InSe) 기반 고이동도·초고속 소자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포화 속도란 반도체 물질 내에서 전자나 정공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속도를 말한다.
2차원 인듐 셀레나이드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와 2차원 반도체보다 높은 전자 이동도와 높은 전류를 보여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대기 중 산화에 취약하고 안정성이 떨어져 고성능 소자 개발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하부 절연막으로 고품질 2차원 육각형 질화붕소(hBN) 물질을, 상부 보호막으로 얇은 인듐 금속을 활용해 인듐 셀레나이드의 안정성과 성능을 개선했다.
핵심 채널층인 인듐 셀레나이드를 오염시키지 않고 2차원 이종접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 전자 이동도와 전자 포화 속도도 대폭 향상했다. 인듐 셀레나이드의 전자 포화 속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ACS 나노(Nano)’ 이달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고성능 전자 소자는 초고속 구동이 가능해 5G 대역을 넘어 6G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저온으로 갈수록 소자 성능이 대폭 개선돼 양자 컴퓨터의 양자 제어 IC(Integrated circuit)와 같이 극저온 고주파수 구동 환경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發 관세 ‘폭탄’, 고꾸라진 ‘환율·증시’
- 또다시 찾아온 ‘블랙 먼데이’, 관세 폭풍에 韓 증시 ‘파란불’
- 신동호 EBS 사장 임명 집행정지 ‘인용’…절차적 하자 가능성 지적
- 이재명, 우원식 ‘개헌’ 제안에 로드맵 제시…“국민투표법 시급”
- 홈플러스, 리츠·펀드 운용사에 ‘임대료 30~50% 감액’ 요청
- 교육부 “의대 본과 3·4학년 많이 돌아와…아래 학생들도 따라올 것”
- ‘미담제조기’ 강하늘 “야당 연기‚ 호감과 비호감 사이 줄타기”
- 한동훈, 이재명 ‘개헌 동시투표’ 반대에…“염치없는 일”
- ‘대장동 재판’ 5연속 불출석한 이재명…법원 “소환 포기”
- 한국은행 “美 관세 불확실성 높아…장기화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