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사 7000여명 4개월만에 도심 집회 “서이초 교사 순직 인정하라”
전국의 교사들이 17일 지난해 교권 침해 논란을 일으킨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사망과 관련해 “순직으로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전국교사일동 소속 교사 7000여명(주최 측 추산)은 서울 중구 광교사거리~을지로입구역 2번 출구에 모여 ‘서이초 교사 순직인정 촉구 및 늘봄 정책 규탄 집회’를 열았다. 이들은 하행 5개차로 중 3개 차로를 이용해 집회를 열었다.
검은 옷을 입고 모인 교사들은 ‘서이초 순직인정’ ‘공교육을 살려내라’ 등의 문구가 적힌 검은색 손팻말을 들었다. 이들은 나흘 뒤인 오는 21일 열리는 인사혁신처의 공무원재해보상심의회에서 서이초 교사의 순직을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그동안 전국교사일동이 주관한 집회는 지난해 7∼10월 서울 도심에서 11차례 열렸다. 이번 12번째 집회는 4개월 만에 열렸다.
집회에 참여한 사망 교사의 사촌오빠 박두용 씨는 “순직 인정이 가족의 아픔을 온전히 치유해줄 수는 없지만 최소한의 명예회복과 (고인의) 명복을 기리기 위해 마땅한 결과가 나오기를 바란다”면서 순직 인정을 촉구했다. 교사들은 손팻말을 들고 “교사죽음 진상규명 순직인정 촉구한다”, “서이초교 교사순직 조속하게 인정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또한 최근 정부의 늘봄학교 확대 정책도 비판했다. 늘봄학교 정책은 초등학생이 저녁까지 학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돌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집회에 참여한 한 교사는 “정부는 돌봄 정책을 입안하면서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대해 어떤 고민도 연구도 하지 않았다”며 “정부는 총선을 위한 생색내기 정책에 우리 아이들의 삶을 바쳤다”고 했다. 해당교사는 “교육부는 교사들에게 시행계획 공문 한 장 던져주고 2주 만에 일을 해내라고 한다”며 “정부는 공교육과 공보육 체계를 이원화하는 돌봄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늘봄학교를 올해 2학기부터 전국 초등학교로 확대하기로 하고, 교사 업무 부담 경감을 위해 업무 전담 조직을 만들겠다고 했다. 그러나 교사들은 준비 부족에 따른 업무 가중을 우려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국정 지지도 51.1%...민주당 39.9%, 국민의힘 36.7% [리얼미터]
- 호주, 중국 따돌리고 FIBA 아시아컵 3연속 우승
- 2루타 이정후·멀티히트 김하성 나란히 맹활약...SF, 탬파베이 꺾고 7연패 탈출
- 3타 줄인 임성재 ‘별들의 잔치’ 투어 챔피언십 7년 연속 출전 금자탑
- 일본·홍콩 모두 제쳤다… 장수율 1위 찍은 ‘억만장자의 놀이터’
- [Minute to Read] 2 dead, 13 injured in Seoul apartment fire
- [더 한장] “멍푸치노 주세요” 사람도 개도 ‘한 잔의 여유’
- 2030년 달 착륙 노리는 중국...미국 ‘아르테미스’는 위기
- “착 붙이면 빠진다”… 주사 대신 ‘붙이는 비만약’ 경쟁 치열해지나
- 손흥민·오타니·류현진 다 보려면 OTT에만 월 6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