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민앱' 카톡마저 먹혔다...유튜브, 토종앱 다 제치고 1위

김승한 기자 2024. 2. 3. 06: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구글 유튜브가 국내 앱(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수에서 카카오톡을 제치고 처음 1위에 올랐다.

3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1월 유튜브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4547만3733명(안드로이드, iOS 합산)으로 카카오톡(4524만9744명)을 22만명 차로 따돌리고 국내 앱 이용자 수 1위를 차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지난해 12월 멜론 이어 올해 1월 카톡 MAU 역전…카톡 처음 1위 내줘
업계 "구글이 국내 앱 시장 장악…격차 더 벌어질 듯"

구글 유튜브가 국내 앱(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수에서 카카오톡을 제치고 처음 1위에 올랐다. 지난해 12월 유튜브뮤직이 멜론을 따돌리며 음원 플랫폼 시장에서 왕좌를 차지한 데 이어 이번엔 전체 앱 순위에서도 1·2위가 뒤바뀐 것이다. '철옹성' 카카오톡마저 유튜브에 역전되면서 사실상 구글이 국내 앱 시장을 장악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3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1월 유튜브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4547만3733명(안드로이드, iOS 합산)으로 카카오톡(4524만9744명)을 22만명 차로 따돌리고 국내 앱 이용자 수 1위를 차지했다.

카카오톡이 국내 앱 사용량 순위에서 왕자를 빼앗긴 것은 1위에 오른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모바일인덱스가 처음 집계를 시작한 2020년 5월 카카오톡 MAU는 4827만2626명으로 유튜브(4528만5401)를 300만명가량 앞섰지만 이젠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특히 모바일인덱스가 지난달 30일 iOS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사용량 추정치 산정 방식을 업데이트하면서 수치가 일부 조정,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순위는 지난해 12월부터 바뀐 것으로 수정됐다. 당초 모바일인덱스 기준 지난해 12월 카카오톡 MAU는 4102만1737명으로 유튜브(4102만1401명)에 근소하게 앞서고 있었다. 그러나 수정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유튜브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4564만5347명으로 카카오톡(4554만367명)을 약 10만명 차로 앞섰다.

업계에선 유튜브 MAU 증가 일등공신으로 유튜브 숏폼(짧은영상) 서비스인 '쇼츠'를 꼽는다. 유튜브는 2021년 쇼츠를 론칭한 후 올해 2월부터 크리에이터에게 광고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쇼츠 콘텐츠 확대에 기여를 했고, 유튜브 이용자를 늘리는 데 한몫했다는 평가다.

특히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을 연계한 '유튜브 프리미엄'(월 사용료 1만450원) 전략은 음원 플랫폼 시장까지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2월 유튜브뮤직은 MAU 740만2505명을 기록,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멜론(728만5813명)을 제치고 국내 음원 플랫폼에서 처음 1위에 올랐다. 원래 유튜브뮤직의 이용료는 월 8000원대다. 하지만 유튜브는 2020년 9월부터 광고 없이 영상을 감상하는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자에게 유튜브뮤직을 무료로 제공했다.

이같은 노림수는 적중했다. 사실상 1만원만 지불하면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자들은 굳이 다른 음원 플랫폼을 이용할 유인이 사라지게 된다. 이는 유튜브뮤직 이용자의 '록인'(Lock-in)을 이끌어 내는 동시에, 토종앱 이용자 수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구글의 토종 플랫폼 장악을 심상찮은 기류로 감지한다. 시장지배적 위치를 활용한 구글의 성장세는 향후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업계 관계자는 "플랫폼 파워와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유튜브는 국내 앱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이뤄갈 것"이라며 "국내 앱은 단순 서비스 경쟁이 아닌 차별화된 서비스와 전략으로 승부수를 걸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