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컵 퇴출’ 철회… 소상공인 부담 완화? 총선용?
이달 사용금지 계도 종료 앞두고
“자영업 비용 부담 덜자” 규제 철회
식당·카페 종이컵 ‘자발적 금지’
플라스틱 빨대·비닐봉투도 유예
4년 추진한 감축, 대안 없이 폐기
환경단체 “사실상 규제포기” 비판
하지만 A씨와 B씨 모두 이러한 부담을 덜게 됐다. 정부가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조처 철회 방침을 밝혀서다.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은 정부의 이번 조치로 “한시름 덜었다”며 환영 입장을 나타냈지만 정부가 그간의 “일회용품 사용량 감축 기조를 뒤집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내년 4월 총선용 선심성 정책이라는 지적도 있다.
환경부는 7일 식당, 카페 등 식품접객업과 집단급식소에서 운영해 온 일회용 종이컵 사용 규제를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플라스틱 빨대와 비닐봉투 사용 금지 조처의 계도기간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했다.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사용은 지난해 11월24일 시행된 일회용품 추가 규제 중 하나로 1년의 계도기간이 부여됐다. 그러나 환경부가 계도기간 만료를 앞두고 기존 규제 철회 방침을 발표한 것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고물가·고금리 등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규제로 무거운 짐을 지우는 건 정부의 도리가 아니다”라며 “과태료 부과보다는 (일회용품 줄이기를) 생활문화로 정착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비닐봉투는 편의점 등에서 일회용 비닐봉투를 거의 쓰지 않았다며 계도기간을 연장했다. 2023년 상반기 사용된 봉투 중 70%가 생분해성 봉투였기에 단속보다는 대체품 사용 생활문화 정착에 주력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이러한 방침에 소상공인연합회는 환영 입장을 밝혔다. 소공연은 이날 입장문에서 “소상공인 부담을 덜어 줄 바람직한 결정”이라며 “소상공인도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현시점에서 일회용품 규제는 필요 기반이 전혀 구축돼 있지 않아 소상공인의 애로가 컸다”고 환영했다.
하지만 환경부가 일회용품 규제를 사실상 포기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환경부는 2019년 11월부터 식당 내 종이컵 사용 금지 등 일회용품 규제 방침을 밝혔는데 지난 4년 동안 구체적인 대안 제시 없이 ‘규제 완화’ 방침만 밝혔기 때문이다. 실제 환경부는 종이컵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교한 시스템’을 마련한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하지 않았다. 내년 4월 총선을 고려한 선심성 정책이라는 지적도 있다. 내년에 있을 총선을 생각해 소상공인 부담을 줄이는 내용을 발표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김나라 그린피스 캠페이너는 “종이컵은 플라스틱 코팅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빨대와 비닐봉투에 대해서도 무한 계도기간을 줘 사실상 플라스틱 규제를 포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환경부가 지난 1년 동안 소상공인을 지원해 제도를 안착시키는 대신 일회용품 규제를 사실상 포기하는 쉬운 방법을 택했다”고 비판했다.
이민경 기자 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