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2026년까지 화웨이 등 중국 부품 5G망에서 단계적 퇴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일 정부가 2026년까지 핵심 5세대 이동통신(5G)망에서 화웨이 등 중국 부품을 단계적으로 퇴출하기로 했다고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이 독일 공영 방송을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이미 설치된 중국산 부품은 모두 교체해야 하며 이번 조치로 독일과 중국 간 갈등이 예상된다고 ARD 방송은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4월에는 독일이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5G망에 내장된 중국산 부품을 전면 조사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독일 정부가 2026년까지 핵심 5세대 이동통신(5G)망에서 화웨이 등 중국 부품을 단계적으로 퇴출하기로 했다고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이 독일 공영 방송을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독일 공영 ARD 방송의 뉴스 프로그램인 타게스샤우 보도에 따르면 낸시 패저 독일 내무장관은 이 같은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르면 2026년 1월부터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중국 화웨이와 ZTE가 만든 부품의 사용이 금지된다고 ARD 방송은 전했다.
또 이미 설치된 중국산 부품은 모두 교체해야 하며 이번 조치로 독일과 중국 간 갈등이 예상된다고 ARD 방송은 보도했다.
다만 민감한 지역 밖의 중요하지 않은 네트워크 접속·전송에서는 여전히 중국산 부품 사용이 부분적으로 허용되기 때문에 전면적인 금지에 해당하지는 않는다고 스푸트니크 통신은 전했다.
앞서 지난달 4월에는 독일이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5G망에 내장된 중국산 부품을 전면 조사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그간 독일은 화웨이 부품 사용금지를 명시하는 데 주저해왔으나, 이들 통신 부품이 중국의 정찰 활동이나 파괴 공작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이 같은 조치에 나선 것으로 관측됐다.
독일 정부는 지난 6월 사상 첫 국가안보 전략을 내놓으면서 중국과 관련해서는 "디커플링(공급망 등 분리)이 아닌 디리스킹(위험 경감)을 원한다"며 중국에 대한 일방적 의존도를 줄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dyl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재판 나온 피고인 윤석열…주소 묻자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 연합뉴스
- 경찰, 박나래 자택 절도사건 용의자 1명 체포…공범 여부 수사 | 연합뉴스
- 신나치 심취 美 고교생, 트럼프 암살 자금 확보하려 부모 살해 | 연합뉴스
- 천안서 부부싸움 끝에 추락한 부부 숨져…자녀 1명 다쳐 | 연합뉴스
- 美하버드대 인근서 성매매업소 운영 40대 한인여성 징역 4년 | 연합뉴스
- 더보이즈 선우 '인성논란'에 소속사 "회사 불찰…선우도 반성" | 연합뉴스
- 모텔 종업원 얼굴에 지폐 던진 30대…폭행 혐의 항소심도 '유죄' | 연합뉴스
- '광주의 딸' 양향자·권은희 국민의힘 행보…지역선 '눈총' | 연합뉴스
- 러 전설적 로커 빅토르 최 벽화 훼손…팬들 격분 | 연합뉴스
- 아내 명의로 저녁에 족발집 운영한 공무원…법원 "징계 정당"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