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끝나자 美 노숙자 11% 급증...“지원금 종료·주거비 폭등 탓”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끝난 뒤 노숙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의 노숙자 수가 지난해에 비해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팬데믹 기간 집계가 중단된 탓에 기술적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던 지난해를 제외하고, 지금껏 가장 컸던 노숙자 증가 폭은 지난 2019년의 2.7%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끝난 뒤 노숙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의 노숙자 수가 지난해에 비해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 정부가 노숙자와 관련한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팬데믹 기간 집계가 중단된 탓에 기술적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던 지난해를 제외하고, 지금껏 가장 컸던 노숙자 증가 폭은 지난 2019년의 2.7%였다.
WSJ이 취합한 300여개 노숙자 관련 기관 자료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단 하루라도 노숙을 경험해 본 사람은 57만7000명에 달한다. 연말에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가 발표하는 노숙자 관련 통계에는 WSJ이 취합하지 못한 통계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노숙자 규모는 이보다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
노숙자 급증의 배경으로는 주거비용 폭등이 지목된다. 팬데믹 기간에는 연방정부나 지방정부가 각종 지원금을 지급한 데다가 세입자가 주택 임대료를 내지 못할 경우에도 퇴거를 제한하는 등의 정책을 도입했지만, 이 같은 보호조치가 중단되면서 경제적 약자의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다. ‘노숙자를 위한 전국연대’(NCH)의 도널드 화이트헤드 주니어 국장은 “팬데믹 기간의 지원금은 안전판 역할을 했다”면서 보호 정책 중단이 노숙자수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내 30여개 도시의 세입자 퇴거 상황을 추적하는 프린스턴대 연구팀에 따르면 올해 대부분의 지역에서 예년 평균을 뛰어넘는 세입자 퇴거가 이뤄지고 있다. 뉴욕의 경우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집행된 주택 세입자 퇴거 건수가 589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40건의 3배가 넘는 규모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해외 직구로 USB 사서 꽂았더니 악성코드 실행”… 중국발 개인정보 유출·해킹에 속수무책
- 中이 장악했던 유조선… 올 들어 韓 조선 잇단 수주
- [절세의神] 가족법인 만들어 아파트 샀더니 취득세 ‘폭탄’… 투자 방법 따로 있다
- 현대로템 vs 한화에어로… 다목적 무인車 수주전 승자 곧 결론
- 직장 괴롭힘, 피해자 가족까지 전염…배우자 수면 건강 해쳐
- [단독] ‘FA-50 큰손’ 말레이시아 방한… 2차 수출 기대
- “참치가 사라진다”… 태평양 섬나라의 ‘눈물’
- 車 관세 25% 예고한 트럼프… GM, 韓 철수 가능성 재점화
- 4000억 챙긴 방시혁에… 한국거래소, 상장 심사 때 최대 주주 관련 계약도 본다
- “내가 그간 뭘 먹은 거야” 가짜 영양제에 뚫린 소비자 안전… 미온적인 쿠팡·식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