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사피엔스’ 탄생은 생물 다양성 찾아다닌 조상 덕?
김민수 동아사이언스 기자 2023. 5. 12.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생 인류의 조상으로 분류되는 호모사피엔스 등 '호모 종'은 지난 300만 년 동안 여러 차례 빙하기와 간빙기를 겪으며 진화했다.
연구팀은 300만 년에 걸친 고기후 시뮬레이션 정보를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유적지 3232곳에서 나온 인류 화석, 고고학 표본 정보에 대입해 호모 종 서식 지역의 생물 군계 유형을 11가지로 분류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0만년 전 유라시아로 이주한 후
다양한 환경 경험하며 인지능력 ↑
‘호모 종’ 중 가장 유능한 종 등장
다양한 환경 경험하며 인지능력 ↑
‘호모 종’ 중 가장 유능한 종 등장
현생 인류의 조상으로 분류되는 호모사피엔스 등 ‘호모 종’은 지난 300만 년 동안 여러 차례 빙하기와 간빙기를 겪으며 진화했다. 초기 인류가 이 같은 기후 변화와 자연환경 변화에 어떻게 적응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 연구팀이 300만 년에 걸친 인류 조상이 어떤 자연환경을 선호했는지를 알아내고 혹독한 기후 변화에서 어떻게 인류가 살아남았는지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역대 최장기간의 고(故)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12일 게재됐다.
연구팀은 지난해 4월 과거 200만 년에 걸친 기후를 시뮬레이션하고 인류 조상이 시대별로 살았던 서식지를 추정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이보다 100만 년을 더한 과거 300만 년의 기온, 강수량 등 기후 자료를 생성해 기후 기반 식생 모델을 구축한 결과다.
연구팀은 300만 년에 걸친 고기후 시뮬레이션 정보를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유적지 3232곳에서 나온 인류 화석, 고고학 표본 정보에 대입해 호모 종 서식 지역의 생물 군계 유형을 11가지로 분류했다. 이어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사피엔스 등 각 호모 종이 선호한 생물 군계를 특정했다. 생물 군계란 기후 조건에 따라 지역을 구분할 때 분포하는 식물과 동물 군집을 모두 포함하는 생물의 군집으로 열대우림, 아열대, 사바나 등으로 구분된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200만∼30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최초 출현한 초창기 호모 종(호모 에르가스터, 호모 하빌리스)은 초원과 건조 관목지대 등 개방된 환경에서만 살았다. 하지만 약 18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등은 유라시아로 이주하면서 온대림과 냉대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적응력을 키웠고 이 과정에서 여러 사회적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높은 적응력에 힘입어 2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한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이동성, 유연성, 경쟁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그 이전 어떤 호모 종보다도 유능해졌다. 덕분에 다른 호모 종이 개척하지 못한 사막이나 툰드라와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었다.
연구팀은 또 호모 종이 선호하는 환경 특성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생물 군계의 다양성이 늘어난 지역에 거주지가 밀집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호모 종이 다양한 식물과 동물 자원이 가까이 있는 자연환경을 선호한 셈이다.
이번 연구에는 IBS가 보유한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가 활용됐다. 슈퍼컴퓨터는 최근 진화생물학과 인류학 연구의 핵심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팀머만 단장은 “인류학에 기후·식생 모델링 연구를 접목한 덕분에 세계 최초로 자연환경에 대한 인류 조상의 거주지 선호도를 대륙 규모로 입증했다”고 말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 연구팀이 300만 년에 걸친 인류 조상이 어떤 자연환경을 선호했는지를 알아내고 혹독한 기후 변화에서 어떻게 인류가 살아남았는지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역대 최장기간의 고(故)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12일 게재됐다.
연구팀은 지난해 4월 과거 200만 년에 걸친 기후를 시뮬레이션하고 인류 조상이 시대별로 살았던 서식지를 추정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이보다 100만 년을 더한 과거 300만 년의 기온, 강수량 등 기후 자료를 생성해 기후 기반 식생 모델을 구축한 결과다.
연구팀은 300만 년에 걸친 고기후 시뮬레이션 정보를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유적지 3232곳에서 나온 인류 화석, 고고학 표본 정보에 대입해 호모 종 서식 지역의 생물 군계 유형을 11가지로 분류했다. 이어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사피엔스 등 각 호모 종이 선호한 생물 군계를 특정했다. 생물 군계란 기후 조건에 따라 지역을 구분할 때 분포하는 식물과 동물 군집을 모두 포함하는 생물의 군집으로 열대우림, 아열대, 사바나 등으로 구분된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200만∼30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최초 출현한 초창기 호모 종(호모 에르가스터, 호모 하빌리스)은 초원과 건조 관목지대 등 개방된 환경에서만 살았다. 하지만 약 18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등은 유라시아로 이주하면서 온대림과 냉대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적응력을 키웠고 이 과정에서 여러 사회적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높은 적응력에 힘입어 2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한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이동성, 유연성, 경쟁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그 이전 어떤 호모 종보다도 유능해졌다. 덕분에 다른 호모 종이 개척하지 못한 사막이나 툰드라와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었다.
연구팀은 또 호모 종이 선호하는 환경 특성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생물 군계의 다양성이 늘어난 지역에 거주지가 밀집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호모 종이 다양한 식물과 동물 자원이 가까이 있는 자연환경을 선호한 셈이다.
이번 연구에는 IBS가 보유한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가 활용됐다. 슈퍼컴퓨터는 최근 진화생물학과 인류학 연구의 핵심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팀머만 단장은 “인류학에 기후·식생 모델링 연구를 접목한 덕분에 세계 최초로 자연환경에 대한 인류 조상의 거주지 선호도를 대륙 규모로 입증했다”고 말했다.
김민수 동아사이언스 기자 rebor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대부업 대출 82% 급감… 불법사채 내몰린 자영업
- 제2의 문재인 막을 ‘문재인 실정(失政) 백서’ [이기홍 칼럼]
- 尹 “前정부, 세계에 北제재 풀라고 해… 軍 골병”
- 與 “김남국, 의원직 이용 코인 투자” FIU “형사사건 관련성 있어”
- 이재명 대장동 재판 시작… 李측 “부정한 돈 한푼도 안받아”
- [단독]“송영무 前국방, ‘계엄문건’ 관련 서명 강요” 직권남용 혐의 입건
- 태영호 후임 두고 “친윤으로” “비주류로” 갈려
- WHO, 엠폭스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 해제
- 대법 “제사 주재자, 장남 아니어도 된다”
- MS, 검색AI에 GPT-4 탑재… 구글, 한국어 문답 챗봇 ‘맞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