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 특공 받고 위장이혼해 또 당첨…부정청약 ‘천태만상’
위장전입 최다…공장을 ‘집으로’
손녀·딸 번갈아 가며 주소지 이전
장애·노부모 부양자 자격 악용도
#A씨는 세종에서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당첨된 후 남편과 ‘이혼’했다. 두 아이는 남편이 부양하는 것으로 했다. 서류상 이혼이었을 뿐 부부는 여전히 자녀 둘과 함께 살았다. 이후 남편은 ‘한부모가족’ 청약자격으로 다시 세종의 공공분양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받았다.
국토교통부가 2022년 하반기 주택 부정청약 의심단지 50곳에 대해 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159건의 공급질서 교란행위를 적발해 수사의뢰했다고 22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해당 지역 거주자·무주택세대구성원이라는 청약 자격을 얻기 위해 주소지를 허위로 등록하는 ‘위장전입’이 82건으로 가장 많았다. 해당 지역 주택은 물론 상가, 창고, 공장 등으로 주소지를 옮긴 사례도 확인됐다.
특별공급은 가구별 1회로 한정되고 분양가상한제 주택 당첨가구는 10년간 재당첨이 제한되는데, 이러한 횟수제한을 피하기 위해 ‘위장이혼’을 한 사례도 3건 확인됐다. 결혼을 하고도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별도 가구로 가장해 청약한 사례도 6건 적발됐다.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특별공급 제도는 청약 당첨 확률을 높이는 통로로 악용됐다. 장애가 있는 할머니를 외손녀가 부양하는 것으로 꾸며 ‘노부모부양자특별공급’을 한 번 받고, 이후 딸이 부양하는 것으로 꾸며 ‘장애인 특별공급’을 한 번 받은 사례도 적발됐다. 할머니는 남편과 지방에서 거주하고 있었는데, 특별공급을 받기 위해 모녀는 주소지 이전을 11번이나 했다.
전문 브로커가 금융인증서를 넘겨받고 대리청약을 하거나 당첨 후 대리계약을 하는 ‘통장매매’도 10건 확인됐다. 의정부·화성·수원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3명은 자격 매수자에게 공인인증서를 넘겨주는 방식으로 파주의 한 단지에 ‘북한이탈주민 특별공급’으로 청약해 당첨됐다. 자격 매수자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계약금과 사례금을 지급하고, 공인인증서와 권리포기각서·무기명 전매계약서를 받았다.
이밖에 시행사가 정식 계약체결일 전 당첨자들에게 가계약금 1000만원을 받고 ‘로열동·로열층’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불법공급’ 사례도 55건 확인됐다.
국토부는 이번에 적발된 공급질서 교란행위 159건에 대해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하고, 주택법 위반이 확인되면 주택환수(계약취소) 및 10년간 주택청약 자격 제한 등의 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최근 부정청약은 감소하고 있으나, 미분양과 맞물려 사업주체의 불법공급이 증가할 우려가 있어 무순위공급 등에 대한 점검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추석에도 멈추지 않는 법무부 시계···연휴에 구속기간이 만료된다면?
- 정치·시대상 담긴 대통령 ‘명절 선물’···뭘 줬고 왜 줬나
- 성수역 역명에 ‘무신사역’ 병기…주민들 “거대 플랫폼이 동네 정취 삼킬라”
- “자기야, 어머니께 전화 드려야지”···돌려받지 못하는 여성의 감정노동 ‘맨키핑’을 아시
- 한민수, 이진숙 체포에 “누가 6번이나 소환 불응하나···모든 국민 법 앞에 평등”
- 조희대의 침묵…사법개혁 어디로 가나
- 트럼프 29일 방한 가능성 제기…“APEC 본행사 참석은 불투명”
- 개천절 도심서 듣기 거북한 “차이나 아웃!” 혐오 구호들···시민들 “퍼질까 걱정” “국격
- 이 대통령, ‘전산망 담당 공무원 사망’에 “고인의 헌신 잊지 않겠다”
- 배우자 반대에도 장남에게 재산 몰아줬다면…대법 “이혼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