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초음파, 본인 부담 늘어난다…'문재인 케어' 수술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건강보험 개선 방안을 내놨습니다.
이른바 '문재인 케어'의 대표 격인 MRI와 초음파 검사부터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 본인 부담을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2018년 '문재인 케어' 출범으로, MRI와 초음파 검사에 부분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환자의 검사비 부담은 크게 줄었습니다.
과잉 진료가 원인으로 지목되자, 보건당국은 건강보험 적용에 엄격한 기준을 들이대 본인 부담을 다시 늘리기로 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건강보험 개선 방안을 내놨습니다. 이른바 '문재인 케어'의 대표 격인 MRI와 초음파 검사부터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 본인 부담을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유승현 의학기자입니다.
<기자>
2018년 '문재인 케어' 출범으로, MRI와 초음파 검사에 부분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환자의 검사비 부담은 크게 줄었습니다.
하지만 건강보험 재정 지출은 크게 늘었습니다.
2018년 1천891억 원이던 MRI와 초음파 진료비는 2021년에 1조 8천476억 원으로 10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과잉 진료가 원인으로 지목되자, 보건당국은 건강보험 적용에 엄격한 기준을 들이대 본인 부담을 다시 늘리기로 했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에만 뇌 MRI를 찍을 수 있도록 하고요. 횟수 같은 것도 3회 돼 있는데 2회 정도로 제한하는 등….]
하루에도 수차례 병원을 찾는 이른바 '병원 쇼핑'도 강력히 규제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필수 의료와 필수 응급의료체계 강화에 재정을 더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7월 제때 수술받지 못해 숨진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같은 피해자가 또 나오지 않도록 진단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40개 권역 응급의료센터를 수술까지 받을 수 있도록 중증 응급의료센터로 바꾸고 숫자도 10개 더 늘립니다.
그러나 필수 응급수술 가운데 지방 외과수술 대책이 누락되는 등 현실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우용/대한외과학회 부회장 : 지역 수술은 거의 초토화되고 있거든요. 필수 의료 외과계에 대한 지역 가산 수가 이런 것들이 지금 고려 안 돼 있다는 것은 상당히 아쉽습니다.]
보건당국은 의료계와 협의해 필수 의료 강화의 세부안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승현 기자doctor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타이타닉' 주제곡 부른 셀린 디옹, 몸 뻣뻣해지는 불치병 진단
- 빅뱅 탑, 내년에 달 여행…일본인 갑부 우주 프로젝트에 선발
- 임산부 배려석 앉으면 안내 음성…광주지하철 센서 도입
- 울산서 곰 세 마리 탈출해 사살…농장 부부 숨진 채 발견
- 여기서 문자 오면 무조건 지우세요…경보까지 내린 피싱
- 대표팀과 청와대서 환영 만찬…윤 “우리에게는 '우승팀'”
- “될 거야, 믿어!” 김영권이 말하는 '16강 기적'의 순간
- 38년 동안 돌본 장애 딸 살해…“난 나쁜 엄마 맞다” 오열
- '상의 탈의' 세리머니 회상한 황희찬 “저도 모르게…”
- 국가시험 관리 '엉망'…물거품 된 시각장애인의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