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표절' 김명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 제자 연구비 가로채
김명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66)가 제자 논문을 요약해 본인 명의로 학술지에 발표하고 총 1000만원의 학술연구비까지 받아 챙긴 사실이 확인됐다. 김 내정자의 논문 표절 파문이 갈수록 확대되며 교육계에서도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7일 경향신문 특별취재팀의 검증 결과 김 내정자는 2012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 학술지에 <전문직적 특성의 교원 보수체계 반영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인식 연구>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김 내정자가 제1저자, 제자 최모씨가 제2저자로 돼 있다.
이 논문은 2년 전인 2010년 김 내정자 제자인 최씨의 박사학위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김 내정자는 이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며 교원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학술연구비 500만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교원대 관계자는 "학술연구비는 논문 한 편당 500만원씩 지급된다"며 "학술연구비는 논문에 등재된 교수에게 지급된다"고 밝혔다.
제자 최씨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학술연구비를 나눠 받았느냐는 질문에 "답변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한 국립대 교수는 "제자 논문을 요약해 자신의 명의로 학술지에 게재한 것도 문제지만 새로운 연구도 하지 않았으면서 학술연구비까지 받아 챙겼다면 도덕적으로도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김 내정자는 <초등학교 단위학교 운영비 배분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을 같은 학술지 2011년호에 제자 이모씨와 공동저자로 게재했다. 이 논문 역시 이씨의 2010년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김 내정자는 이 논문으로도 학술연구비 500만원을 받았다.
김 내정자는 "학술지원비를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계속 얘기하면 논란만 될 뿐이다. 인사청문회에서 소상히 밝히겠다"고 답했다.
<심혜리·임지선·이효상 기자 grac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명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 '양파껍질' 의혹에 교육계 "수장 자격 없다"
- 최상목도 계엄 나흘 뒤 휴대폰 바꿨다…‘위증’ 지적에 “송구하다”
- “도치맘 진짜 있냐고요?”…어른이 된 대치키즈 이야기
- [속보]쯔양, 조사 거부하고 40분 만에 나와···“경찰이 피해자 보호 의지 없어”
- 나경원 “대미 협상 함부로 하다가 큰일 날 수도”…한덕수에 견제구
- 유정복 “이제 윤석열 잊자” 국힘 주자 중 유일하게 탈당·출당 거론
- ‘회견→연기→비공개 면담→회견’, 김문수 캠프 시작부터 삐그덕?
- ‘연기 30년차’ 박은빈···“우영우 떠나 보내고 새 친구 사귀었죠”
- 봄나들이 명소에 직접 유아차 끌고 가봤더니···“꽃놀이는 남 얘기였다”
- [속보]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