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3·1운동은..폭력적"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가 3·1운동에 대해 '폭력적'이라고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운동을 총칼로 탄압하는 일제에 항거한 데 대해 '폭력적'이라고 기술한 것은 3·1운동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3·1운동과 관련해 '폭력적'이라고 기술한 교과서는 교학사 외에 리베르스쿨 교과서뿐이었다.
지난 1일 초판본이 나온 교학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253쪽 '3·1운동의 전개와 일제의 탄압' 단락에서 "비폭력 평화적 시위로 시작된 3·1운동은 농촌으로 시위가 확산되면서 면사무소·주재소·헌병대 습격, 친일파 공격 등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고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족문제연구소 박한영 교육홍보실장은 "그 자체로는 사실에 대한 기술이지만, 역사를 이해하는 맥락에서 '폭력적'이란 부분이 강조된 것은 아쉽다"며 "일제가 총칼로 3·1운동을 탄압하는 과정에서 그에 대한 항거로 시위가 과격해진 부분이 있다. 하지만 폭력이 3·1운동의 의미를 규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중 3·1운동을 설명하면서 '폭력적'이란 단어를 쓴 교과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교학사와 리베르스쿨, 2종 밖에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리베르스쿨 한국사 교과서는 284쪽에서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까지는 시위가 절정에 달하였다. 농촌 지역에서는 시위대가 면사무소나 주재소를 습격하기도 하였다. 3·1운동은 비폭력·무저항주의로 출발하였지만, 시위가 확산되면서 점차 폭력적인 양상을 띠었다"고 평가했다.
< 강석봉 기자 ksb@kyunghyang.com >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탄핵 선고 앞두고…윤 대통령·신평·전한길 등 책 출간 “계엄으로 ‘진보귀족’에 저항”
- “시끄러워!”…부산교육감 선거 유세장에 음료수 깡통 던진 50대 취객 입건
-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 “산불 지를 거니 소방관들 각오해라”…방화 예고글에 경찰 작성자 추적
- 최종 변론 뒤 38일…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왜 이렇게 늦어졌나
- ‘전자칠판 비리’ 구속된 인천시의원 2명, 2억2000만원 뇌물 챙겨
- [속보]권영세 “탄핵 기각 희망하지만, 어떤 결론 나오든 당연히 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