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통일비용 한국 GDP의 24%"<獨연구소>
할레 연구소 "한국 감당할 수 없는 수준"
"한국 대규모 인플레이션도 대비해야"
(베를린=연합뉴스) 박창욱 특파원 = 북한의 갑작스러운 붕괴 등으로 남북한 통일이 이뤄지면 통일 비용으로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24%가 필요하다는 독일 경제연구소의 진단이 나왔다.
독일 할레 경제연구소 울리히 블룸 소장은 31일(현지시간) 독일 일간지 빌트 기고문을 통해 "북한의 뒤처진 경제력 때문에 한국은 통일 기금을 조성한다고 해도 통일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며 이 같이 전망했다.
블룸 소장은 통일 비용 추산 근거로 1990년 독일 통일 당시 옛 서독 국내총생산의 6%가 옛 동독 지역에 투입됐다는 점을 제시했다.
당시 동독은 서독에 비해 인구 규모와 1인당 국내총생산이 각각 20% 수준이었지만, 현재 한국 대비 북한의 인구 규모는 40%인 반면 1인당 국내총생산은 5%에 불과하다는 것이 블룸 소장의 설명이다.
그는 옛 동독과 마찬가지로 북한에서 한국으로 대규모 주민 이탈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그러나 한국은 이를 흡수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라고 평가했다.
블룸 소장은 한국은 통일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북한의 협조 없이는 어렵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일종의 인큐베이터 전략인 경제특구 전략으로 북한에 진출할수 있지만 오늘날 개성공단이 보여주 듯 근본적인 제도의 변화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블룸 소장은 통일 과정에서 독일이 경험한 것 처럼 한국에서도 대규모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북한을 위한 대규모 재건원조는 한국내 물가상승을 초래할 것이며 한국의 무역흑자를 상당 부분 줄어들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블룸 소장은 북한이 주로 군시설 분야에서 보유한 연구혁신 환경은 동독 재건과정에서 볼 수 있던 것처럼 장기 번영을 위한 관점에서 유지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북한의 체제변경이 1990년대 이후 중국과 베트남과 같은 `탈공산주의'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며, 이러한 희망이 지난 20년간 바깥세상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지 못하는 북한 내부에 전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pcw@yna.co.kr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화성 저수지에 3살 아들 태운 30대 여성 차량 빠져…모두 구조 | 연합뉴스
- 中장가계 '폭싹 속았수다' 홍보 이용…서경덕 "훔쳐본 것 시인" | 연합뉴스
- 김병만, 비연예인 연인과 재혼…"9월 중 결혼식 예정" | 연합뉴스
- 고 장제원 전 의원 발인식…가족 등 250명 마지막 길 배웅 | 연합뉴스
- 머스크와 헤어질 결심 굳혔나…트럼프 "결국 떠날 시점 올 것" | 연합뉴스
- 양산서 27층 아파트 옥상서 도장작업 60대 근로자 추락해 숨져 | 연합뉴스
- '선고 임박' 헌재 인근엔…방독면 시위대에 저주인형까지 | 연합뉴스
- BTS 진, 산불 피해 지역서 배식 봉사…"작은 도움이라도" | 연합뉴스
- 충주 남한강서 신원미상 시신 발견 | 연합뉴스
- 구미서 경찰관 총상 입고 숨진 채 발견…"범죄혐의 없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