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매미 습격에 농민들 주름살만..
충북도 내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증가…과수농가 눈덩이 피해 방제 시급
[로컬세계]
|
꽃매미떼가 나무에 빼곡히 붙어 나무진액을 빨아먹고 있다. 매년 꽃매미 피해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월동기 알 제거 등 방제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해충의 습격으로 농민들의 주름살이 깊어가고 있다. 올해 꽃매미가 과수농가에 커다란 피해를 줘 방제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올해 도내 꽃매미 피해지역은 전체 1051㏊로 지난해 409ha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 가운데 옥천이 434㏊로 가장 많다.
당초 방역당국은 올해 꽃매미 피해가 예년보다 줄 것으로 예측했다. 겨울 한파로 꽃매미 알 부화율이 급감할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예측은 빗나갔다. 겨울 기온이 섭씨 영하 17.8도까지 떨어졌던 청원군 문의면에선 채집한 꽃매미 알의 81%가 부화했다. 영하 19.4도 진천군 덕산면에서도 31%가 살아남았다.
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유난히 추웠던 지난 겨울 꽃매미 발생이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 빗나간 만큼 11월 월동준비에 들어갈 때부터 알 제거 등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도내 꽃매미 피해를 가장 컸던 옥천군은 서둘러 방제에 나섰다. 군은 꽃매미로 인한 과수 피해를 최소화키 위해 24일부터 다음달 11일까지 월동준비를 시작한 꽃매미 방제약제 공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 읍·면 산업팀 담당자들의 조사결과 조사한 꽃매미 방제 대상지는 470㏊, 869 농가로 나타났다"며 "보조사업자인 농협중앙회 옥천군지부와 함께 약제를 공급해 성충을 제거하고 발생 밀도를 최소한으로 줄일 방침"이라고 전했다.
꽃매미는 2006년 충남 천안에서 첫 피해가 발견된 후 전국으로 확산됐다. 부화해 성충이 되면 나무줄기에 달라붙어 즙액을 빨아먹어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그을음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일 등의 표피에 달라붙어 배설을 하는데, 배설물이 탄소동화작용을 방해해 과일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도 관계자는 "꽃매미는 알에서 부화하면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알이 부화하기 이전에 제거해야 한다"며 "올 겨울 방제에 따라 내년 피해 규모가 결정되는 만큼 농가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뉴스룸 = 이진욱 기자 jinuk@segye.com
[Segye.com 인기뉴스]
◆ 안철수 서울대 원장직 사임…본격 정치활동?
◆ "우는소리 싫어"… 영아 감금한 어린이집 원장
◆ 전여옥, 안철수에 독설 "정치 초년병…"
◆ 여자들, 미친듯이 사랑에 빠지지 않는 이유는…
◆ 실종 거창 40대 여성은 어디에?..흔적 오리무중
[ⓒ 로컬세계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쳤다’ 소리 들었는데…“현금 1억이 30억 됐네요”
- “부자는 다르네”…1000억 재산 서장훈, 이상민 재혼에 건넨 통 큰 축의금 액수
- 중2 딸 입에서 나던 사탕 냄새…알고 보니 전자담배?
- 정우성, 혼외자 출산 문가비 아닌 연인과 혼인신고?…소속사 "확인 중"
- “시아버지와 혼인신고 X족보 됐다”...안동서 실제 벌어진 일
- 꽁꽁 숨겼던 조세호 아내 얼굴 공개됐다...174cm 슈퍼모델 출신
- “여관 골방에 살았다”…홍자, 가족 위해 버틴 무명 8년 고백
- 결별하자마자 열애설 터진 이미주, 전남친 충격 만행 폭로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