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는 돈 떼일까 불안해서'…월세 고공행진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7일 서울 시내 한 연립·다세대 단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전국의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습니다.
지방에서는 다세대·다가구 등 비(非)아파트 세입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을 정도로 '월세화'가 강해졌습니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입니다.
1∼2월 기준으로 이 비중은 2021년 41.7%에서 2022년 47.1%, 2023년 55.2%에 이어 지난해 57.5%로 급격히 늘어난 뒤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습니다. 4년만에 20% 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것입니다.
수도권보다 지방의 월세화가 가파릅니다.
이 비중은 수도권이 60.2%로 1년 새 3.1%포인트 증가했고, 지방은 63.5%로 5.4%포인트 늘었습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입니다.
아파트 월세 비중이 매년 조금씩 높아지는 반면 '빌라'로 대표되는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새 2%포인트 늘었습니다.
서울이 43.8%, 지방은 45.4%입니다.
같은 기간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1년 전보다 5.6%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가장 높고, 서울 76.1%, 수도권 73.2% 였습니다. 지방 빌라는 대부분이 전세가 아닌 월세 계약을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지난 2년간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과 함께 지방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한 주요 요인이 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집값이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이 늘었고, 기준금리가 인하되며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자 임대인의 월세 선호가 더 강해졌다는 것입니다.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월세를 얼마 받을지 계산하는 비율인 전월세전환율이 높아지면서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 전월세전환율을 5.9%, 지방은 6.9%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
- 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에…한화그룹株 '들썩'
- '전세는 돈 떼일까 불안해서'…월세 고공행진
- 전국 고속버스 1700대, 무료 와이파이 터진다
- 현대차 미국 판매법인 자동차 가격 인상 가능성 고지
- 머스크 "테슬라 반토막 내 탓...그래도 지금이 매수 기회"
- 토허제 재지정 직전 5일간 막판 매수세…강남구 10건 중 4건 '신고가'
- "상습체불 3배 손해배상" 악덕사장 경제 제재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