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풀리자 서울 아파트 매매 47% 껑충…7개월 만 반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영향에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약 4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반등한 것은 7개월 만이다.
서울 주택 매매량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이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매매량은 2만426건으로 전월 대비 34.6% 증가했고, 지방은 2만6672건으로 30.3%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악성미분양 역대 최고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영향에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약 4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반등한 것은 7개월 만이다.
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보다 4% 증가하면서 한 달 만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전체 주택 매매는 7230건으로 전월 대비 37.9% 증가했다. 서울 주택 매매량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이다.
토허제 해제와 봄 이사철 수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3233건에서 4743건으로 46.7% 늘어난 것이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매매량은 2만426건으로 전월 대비 34.6% 증가했고, 지방은 2만6672건으로 30.3% 늘었다.
전국 주택 매매는 5만698건을 기록해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16.6% 늘었다.
아파트 매매는 전월 대비 34% 증가한 3만9925건, 비아파트 매매는 26.2% 늘어난 1만773건이었다.
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보다 3.5%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7600가구로 전월보다 10.9%, 지방은 5만 2461가구로 0.8% 감소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역대 최고를 경신했다. 지난달 말 악성 미분양은 전월 대비 3.7% 늘어난 2만3772가구에 달했다. 지방 물량이 1만9179건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특히 충북 지역 악성 미분양이 565가구를 기록하며 전월보다 40.2% 급증했다. 규모별로 보면 △대구 3067건 △경북 2502건 △경남 2459건 △전남 2401건 △부산 2261건 순으로 많았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도 안 보고 무섭게 매수하더니…일주일 만에 '돌변'
- 2030女 사로잡자…초코파이·커피믹스도 결국 '중대결단'
- "올해 BTS 완전체 뜨면 年 3000억"…놀라운 전망 나왔다
- '도대체 누가 산거냐'…BTS 지민 포토카드 '300만원' 신기록
- "1억에 산 건물로 月 300만원씩 번다"…화들짝 놀란 이유가
- 언제는 남아서 버린다더니…지금은 "비싸서 수출도 못 해" 한숨 [이광식의 한입물가]
- 1년 전기료만 '1900억'…'더이상 못 버텨' 문 닫은 공장
- [단독] "피해 없어도 30만원"…경북 산불 재난지원금 논란
- "진짜 미쳤다" 아이돌 '10억 기부'에…놀라운 일 벌어졌다 [연계소문]
- 이러다 집에 부엌 사라지겠네…불황에 더 강한 '급식 대가' [최종석의 차트 밖은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