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또 늘어 2만2872채…11년3개월 만에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파트를 다 지을 때까지 팔리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만2000채를 넘었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20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채로 집계됐다.
전국 지자체 중 경기도의 미분양 주택이 1만5135채로 가장 많았다.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된 악성 미분양 주택은 2만2872채로 전월(2만1480채)보다 6.5%(1392채)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20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채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7만173채) 대비 3.5%(2451채) 늘어난 수치다.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하다 12월부터 2개월 연속 늘고 있다.
지난달 늘어난 미분양 주택의 88.9%(2181채)는 경기도에 쌓여 있다. 전국 지자체 중 경기도의 미분양 주택이 1만5135채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구(8742채), 경북(6913채)과 경남(5203채) 순이었다.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된 악성 미분양 주택은 2만2872채로 전월(2만1480채)보다 6.5%(1392채) 늘었다. 이는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다. 늘어난 준공 후 미분양의 85.9%(1197채)는 지방에서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3075채)에서 가장 많았고, 전남(2445채), 부산(2268채), 경북(2214채)과 경기(2088채) 순이었다.
지난달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인 인허가와 착공은 모두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는 2만2452채로 전년 동월(2만5810채) 대비 13.0% 줄었다. 같은 기간 주택 착공은 2만2975채에서 1만178채로 55.7% 감소했다.
오승준 기자 ohmygod@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기홍 칼럼]탄핵되든 복귀하든 윤석열은 보수 재건의 중심이 될 수 없다
- [김순덕의 도발]이승만 계엄에 “반란적 쿠데타”라며 인촌은 부통령 사임했다
- 尹탄핵심판 막판 ‘마은혁 변수’
- 檢. ‘계엄 가담’ 김현태 707단장 등 군경 9명 기소
- 박찬대 “최상목, 마은혁 임명 안하면 권한대행 인정 못해”
- “내가 젤렌스키를 독재자라 했다고?”…광물협정 앞두고 말바꾼 트럼프
- 내란 국조특위, 野단독으로 尹-김용현 등 10명 고발
- 멕시코, 전설의 마약 카르텔 두목 등 29명 美에 넘겨
- 최상목, 美재무장관과 화상면담…“한국의 경제기여 고려해달라”
- ‘尹 탄핵’ 찬성 59% 반대 35%…이재명 35% 김문수 10%[한국갤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