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 113대 1…역대 2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서울의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이 세 자릿수에 달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3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12.8대 1(12월 둘째 주 기준)을 기록, 지난해(56.9대 1) 대비 2배 증가했다.
이처럼 올해 청약 경쟁률이 치솟은 건 서울 강남권에서 아파트 공급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안전자산’이란 인식도 한 몫”
(시사저널=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올해 서울의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이 세 자릿수에 달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3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12.8대 1(12월 둘째 주 기준)을 기록, 지난해(56.9대 1) 대비 2배 증가했다.
이변이 없는 한 이 경쟁률은 역대 두 번째가 될 전망이다. 지난 2007년 인터넷 청약 도입 이래 서울 아파트 역대 최고 경쟁률은 163.8대 1(2021년)이었다.
이처럼 올해 청약 경쟁률이 치솟은 건 서울 강남권에서 아파트 공급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서울에서 사용된 청약통장을 보면, 절반 이상이 강남구와 서초구 청약자들의 몫이었다. 이 지역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당첨된다면 수억원의 시세 차익을 기대해볼 수 있는 곳들이다. 여기에 향후 서울의 아파트 공급난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와 '서울 아파트=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더해져 청약 열기가 가중됐다는 분석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토지비, 공사비 등으로 분양가가 많이 올랐지만, 서울 아파트는 자산적 가치가 높아 수요가 탄탄한 가운데, 신축을 선호하는 점도 청약 경쟁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며 "대부분 선분양으로 나오는 만큼 계약금 외 당장 큰돈이 들어가지 않고, 입주 시점까지 추가적인 자산가치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는 것도 분양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탄핵안 가결 각오한 용산과 친윤?…헌재 기각 기대하나 - 시사저널
- ‘내란죄’ 尹대통령 구속 임박?…옥중에서 직무수행 가능할까 - 시사저널
- ‘탄핵 이탈표’ 의식? ‘尹 3월 하야 로드맵’ 띄운 與, 속내는? - 시사저널
- 실체 드러난 ‘동남아 거점 3대 마약왕’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한동훈-박세현 관계’ 파고드는 野…“검찰, 내란수사 손 떼라” 왜? - 시사저널
- “제2의 전두환” “피의 복수 할 것”…‘성지’ 된 유승민의 예언 - 시사저널
- 지겹고 맛 없는 ‘다이어트 식단’…의외로 먹어도 되는 식품 3가지 - 시사저널
- ‘윤석열의 운명’, 4가지 퇴진 시나리오는? - 시사저널
- 겨울에 더 쉽게 상하는 ‘피부’…탄력 있게 유지하려면? - 시사저널
- 尹, 이번 주 운명 결판난다? 흔들리는 한동훈, 최후의 선택은 [김경율의 노빠꾸 정치]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