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교수들도 집단휴진 불참…"약물투여 중단 안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이뤄진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 차원의 집단휴진(총파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14일 입장문을 내고 "뇌전증은 치료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 해선 안 된다"면서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치료중단 시 신체손상·사망위험 수십배"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이뤄진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 차원의 집단휴진(총파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집단휴진 불참 의사를 밝힌 세 번째 의사단체다.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14일 입장문을 내고 “뇌전증은 치료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 해선 안 된다”면서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이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면서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뇌전증 지식이 없고 치료하지 않는 의사들은 처방하기 어려우며 일반 약국에서 대부분 (약물을) 구할 수도 없다”면서 “항뇌전증약의 일정한 혈중 농도를 항상 유지해야 해 한 번 약을 먹지 않아도 심각한 경련이 발생해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했다.
또 의료계 집단 휴진을 겨냥해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봐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며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줄 것이 아니라 삭발하고 단식을 하면서 과거 민주화 투쟁과 같이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70㎝·42㎏' 최준희, 뼈말라 몸매…가녀린 일자 쇄골
- 백지영 "번 돈 다 변기에 버리고 후회…재테크 실패"
- 박수홍, 7개월 딸 공개…♥김다예 닮은 큰 눈망울
- 산다라박, 마른 몸매에 반전 볼륨감…청순 글래머
- 고지용 "간 수치 급상승에 입원…살 많이 빠져"
- 서민재, 임신→남친 신상 폭로 후 "스토킹으로 고소당해"
- 미국서 급성 뇌출혈 안재욱 5시간 수술…"병원비만 5억원"
- 발달장애 아들 팔 골절…오윤아 "사는 게 맘대로 안 돼" 눈물
- 이경실, 89평 이촌동 아파트 경매 취소 "잘 해결됐다"
- 손흥민 협박범 "X 먹어라…비밀유지 각서에 30억 배상 써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