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단 50년, 미래 산업혁신파크로
경남 창원시가 창원국가산업단지 50주년을 맞아 미래 청사진으로 ‘산업혁신파크’를 제시했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23일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3월부터 창원국가산단 50주년 발전협의회를 구성해 기업·대학·연구계 등을 대표하는 20여 명이 토론을 거쳐 창원국가산단의 최종 목표를 대한민국의 미래 50년을 견인하는 창원 산업혁신파크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또 “전문기관에 의뢰해 산단 관련 수요자와 전문가의 다양한 목소리도 반영했다”며 “창원국가산단은 과거 50년 한국 산업화의 성공 신화를 썼으나 4차 산업혁명 등 변화를 선도하는 혁신 역량 부족으로 성장의 한계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산단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 역량을 높여야 한다”며 “기업이 필요로 하는 첨단 인프라와 서비스를 집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스마트 공장 확대를 통한 입주기업의 자율 제조와 디지털 대전환을 지원하고, 산단 관리 디지털화를 통해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창원시는 이를 위해 산업용 로봇 활용·촉진을 지원해 부족한 제조업 인력난 해소에 나선다. 최첨단 공동 R&D 시설 장비와 검사, 시험 인증설비는 물론 관련 공공기관을 집적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도 조성한다.
청년·여성 인력의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한 중견, 중소기업의 자생력 확보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단 내 기업과 역내 대학, 정부 출연·출자기관 간 협력을 통해 고급인재 양성·활용체계를 강화한다. ICT 등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위한 국내·외 우수 교육 및 연구기관 유치에도 나선다.
산단 내 폐공장 등을 활용해 복합 문화공간과 쇼핑센터를 만들고, 공동 직장 어린이집 등 복지시설도 확충해 워라밸이 있는 산단으로 변화한다는 구상이다.
기술 창업·펀드·거래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판매·수출을 위한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 공간도 늘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탄소중립과 물 부족 문제에도 대응한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태양광, 풍력, 수소 등의 신재생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고 제조공정의 제로 에너지화를 추진한다. 산단용수의 재활용 등 물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오는 6월 입법을 앞둔 분산 에너지법을 활용해 지역 내에서 친환경에너지의 생산과 소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홍 시장은 “창원이 혁신 기업과 유능한 인재가 몰려드는 세계 최고의 제조도시로 변신하도록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hat’s New on Netflix: Highlights of 3rd week of May
- 과속운전 단속 카메라에 딱 걸린 청둥오리…무슨 일?
- “원격으로 대정전 유도”...中 태양광 속 ‘유령 통신장치’ 정체
- “서울대 동기 상당수 시골 출신, 겸손함 배워” CJ 이미경 美대학 연설
- 가수 김용빈, “어릴 때부터 바랐던 화장품 모델돼 꿈만 같아...관리할 때 추천곡은...?”
- 두 살배기 아이, 15층 아파트에서 추락했는데 생존···美서 일어난 기적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진화율 70%... “주불 곧 진화”
- “임신했다” 손흥민 협박한 전 연인 일당 구속
- 중화권 코로나19 확진 폭증…“홍콩서 한달간 30명 숨져”
- 中매체 “J-10CE 전투기 첫 실전 성과”…인도 라팔 격추 자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