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서비스·디지털·中企 등 분야별 FTA 개선 착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와 영국이 서비스·디지털·중소기업 분야에 대한 자유무역협정(FTA) 개선 작업을 착수했다.
정부는 중소기업과 핀테크·인공지능(AI) 기업 등으로 디지털 통상을 넓히고,개선 협상이 논의되는 분야로는 '한영 FTA 투자 분야' 신설도 거론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나라와 영국이 서비스·디지털·중소기업 분야에 대한 자유무역협정(FTA) 개선 작업을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영 FTA 개선을 위한 2차 공식협상이 19∼22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에는 한국 측 장성길 산업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과 영국 측 아담 펜 기업통상부 부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나선다. 앞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이후 한국과 영국은 FTA를 체결했으며, 한·영 FTA는 2021년 발효했다.
양국은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개선 협상의 개시를 선언했고, 지난 1월 서울에서 1차 협상을 개최했다.
정부는 이번 2차 협상에서 서비스, 디지털, 중소기업, 모범규제 관행 등의 분야별 협상을 통해 포괄적인 통상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신통상 규범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한영 FTA에는 전자적 전송에 대한 무관세 등 전자상거래 규범 관련 2개 조항만 담겨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과 핀테크·인공지능(AI) 기업 등으로 디지털 통상을 넓히고,개선 협상이 논의되는 분야로는 ‘한영 FTA 투자 분야’ 신설도 거론된다.
산업부는 “한·영 FTA 개선은 우리의 핵심 우방국가인 영국과의 선진 통상 연대·강화를 통해 한국 기업의 수출과 투자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나아가 젠더, 청정에너지 등 신통상 분야에서의 협력을 증진하고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언제부터 중국집이 배달비 받았냐” 이젠 ‘0원’…배달의민족 화들짝
- “시급 1만3000원에 아이 밥·목욕·설거지”…하원도우미 모집에 “하녀 구하냐”
- ‘연봉 1조’ 아내·엄마가 그냥 일반석?…日 주목한 오타니 가족 검소함
- 아일릿, 데뷔앨범 지속가능 소재로…하이브, ‘위버스앨범’ 전면 교체
- 류준열과 열애 한소희, 웃으며 입국…왼손 약지엔 반지
- 하늘궁 신도들, 허경영 성추행 혐의 집단 고소…경찰 수사
- 손흥민 '월클' 맞네…호날두 제치고 월드랭크 12위
- 손흥민 “은퇴하면 축구계 떠난다. 가르칠 능력 안돼”
- ‘난치병 투병’ 이봉주의 기적 "굽은 허리 곧게 펴져 잘 걷는다"
- 뱅크시 이번엔 '나뭇잎 벽화'…환경보호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