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의사·약사 등 의료사업자 의료수가 14억여원 압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가 지방세 100만원 이상 체납자 중 병원, 약국, 요양원 등 의료사업자 238명의 의료수가 14억5000만원을 압류했다고 1일 밝혔다.
도는 지방세 100만원 이상 체납자 17만8000명의 사업자현황을 일제 조사해 이를 토대로 세금을 체납중인 병원, 약국, 의료기기 판매업자 등 의료사업자 238명의 의료수가 지급내역을 활용해 체납세금 2억7000만원을 징수하고 14억5000만원을 압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가 지방세 100만원 이상 체납자 중 병원, 약국, 요양원 등 의료사업자 238명의 의료수가 14억5000만원을 압류했다고 1일 밝혔다.
의료수가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내는 본인부담금과 건강보험공단에서 의료기관에 지급하는 급여의 합계로, 통상 의사 등 의료사업자가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는 금액을 말한다.
도는 지방세 100만원 이상 체납자 17만8000명의 사업자현황을 일제 조사해 이를 토대로 세금을 체납중인 병원, 약국, 의료기기 판매업자 등 의료사업자 238명의 의료수가 지급내역을 활용해 체납세금 2억7000만원을 징수하고 14억5000만원을 압류했다.
의사나 약사의 경우 대표적인 고소득, 전문직 직종으로서 이들의 급여에 대해서는 압류조치가 가능했으나, 직접 사업을 운영하는 대표자가 본인의 급여에 대해 무보수 근무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급여압류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도는 의료사업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의료수가를 받는다는 점에 착안해 일제조사를 추진했다.
주요 사례로 체납법인 A제약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방소득세 등 10억여원을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다는 이유로 납부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일제조사에서 집중조사 대상으로 선정해 의료수가에 대한 압류계획을 알려주자 6000만원을 납부하고 분납을 약속했다.
노승호 도 조세정의과장은 “충분한 경제적 여유가 있는데도 체납을 일삼는 비양심적인 체납자에 대해서는 강력한 체납처분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며 “공정한 과세 실현을 위해 법률이 허용하는 모든 절차를 동원하고 다양한 징수기법을 계속해서 발굴하는 등 조세정의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전승표 기자(sp4356@hanmail.net)]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건국 이래 최대 세수 펑크', 56조 덜 걷혀…담뱃값 오르나
- '심심'한 사과 말씀 드린다? 유권자들의 '여론조사 문해력'은?
- 히잡에 수술복까지…이스라엘군, 무슬림·의료진 위장해 서안 병원 침투 '파문'
- 쿠팡물류센터 노동자 절반, 노동강도·스트레스 심각
- 한동훈, 이재명에 반박 "배현진 피습은 민주당 욕망 때문인가"
- 7분 공천 면접 본 이재명 "곤란한 질문 없었다"
- 한국과 일본 여성 임금은 남성의 70% 수준에 그쳐
- "'의료 민영화'가 혁신이라는 윤 대통령, 환자 아닌 기업 중심"
- 작년 제조업 생산, IMF 이후 25년來 최악…판매·투자도 감소한 '트리플 약세'
- 이준석 '여성 병역', '노인 무임승차 폐지'에 보수진영 내 잇단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