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유치원 月평균 124만원
‘7세 고시’라는 말까지 나와
영어 유치원 비용이 월평균 124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비 부담은 저출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11일 교육부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유아 대상 영어 학원의 월평균 교습비는 2021년 107만원, 2022년 115만4000원에서 지난 6월 기준 123만9000원으로 매년 상승하고 있다. 월평균 교습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으로, 170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충남(145만9000원), 서울(144만1000원), 인천(142만6000원) 순이었다. 이는 하루 4시간 이상, 주 5회 수업을 하는 학원을 기준으로 한 비용이다. 교습비에 포함되지 않은 급식비와 차량비 등을 포함하면 실제 부모가 부담하는 비용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기준 전국 유아 대상 영어 학원 수는 총 840곳으로 2018년(562곳)의 약 1.5배 수준이다. 서울(289곳)과 경기(221곳)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부산(73곳), 대구(41곳), 인천(33곳) 등 순이다. 학원 원생 수는 지난 3월 기준 4만1486명으로 서울(1만7193명)과 경기(1만756명) 지역 원생이 67.4%에 달했다.
사교육 열풍을 타고 유아 대상 영어 학원 수가 꾸준히 늘면서 서울 강남권에서는 영어 유치원 졸업 후 유명 초등 영어 학원에 아이를 보내기 위한 ‘레벨 테스트’ 경쟁도 치열하다. 이른바 ‘빅5′ ‘빅10′으로 꼽히는 초등생용 유명 영어 학원의 예비 초등 1학년 레벨 테스트 난이도는 갈수록 높아져 ‘7세 고시’라는 말까지 나온다.
박진백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이 2009~2020년 국내 16개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인당 사교육비가 1% 증가하면 이듬해 합계출산율이 약 0.0019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유아 사교육 시장이 지나치게 팽창하면서 유아 시절부터 부모의 배경에 의한 교육 불평등이 유발되고 있다”며 “영유아에 대한 과잉 교육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발달 과정에 맞게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광주 학동 참사’ 책임자 전원 유죄 확정...사고 4년 2개월 만
- 우원식 “국군, 비상계엄 도구 된 과거와 단절해야”
- 키 56㎝ ‘로봇 여친’ 등장…춤 춰주고 정서적 교류까지 가능
- 해병 특검, ‘이종섭 호주대사 검증’ 법무부 前인사단장 소환
- 조현 “미국 방문 앞서 입지 유사한 일본과 먼저 이야기하는 것 필요”
- 왜 비싸야 하나, 4만원대 스마트워치로 시장 파란 한국 기업
- 법원 “성전환 수술 받지 않아도 트랜스젠더 성별 정정 허가해야”
- 뒤차 경적에 격분해 흉기 들이민 70대 男, 징역형 집행유예
- 올해 상반기 나라살림 적자 94조3000억원...역대 네번째로 큰 규모
- 정부, 김여정 담화에 “안정화 조치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