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보험 허점 노린 전세사기 기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7월부터 경찰청과 전세 사기 대응을 위해 공조 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1만3961건의 전세사기 의심 정보를 적발해 경찰에 넘겼다.
이번에 적발한 빌라 전세 사기 의심 정보는 아파트와 비교해 매매가 어려운 빌라를 팔기 위해 나온 매매 계약의 허점을 노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축빌라 시세 파악 어려운점 악용
민간 감정기관 동원해 가격 뻥튀기
"정부와 국회, 대책 마련 시급해"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국토교통부가 지난 7월부터 경찰청과 전세 사기 대응을 위해 공조 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1만3961건의 전세사기 의심 정보를 적발해 경찰에 넘겼다. 이번에 적발한 빌라 전세 사기 의심 정보는 아파트와 비교해 매매가 어려운 빌라를 팔기 위해 나온 매매 계약의 허점을 노렸다. 빌라나 오피스텔 매매 수요는 없지만 전세 수요는 많아 세입자를 먼저 끌어들인 뒤 그 전세금으로 빌라의 매맷값을 치르도록 한 것이다.
28일 주택시장과 정부에 따르면 국토부가 전세보증 악용 사례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보안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대책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자칫 보증 보험 한도를 낮추거나 보증가입 대상 주택을 줄인다면 세입자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할 수 있어서다. 일각에서 임대사업자에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보증보험 의무 가입을 확대하고 보증료 역시 임대인이 부담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 또한 법 개정 사항이고 임차인에게 고스란히 비용 전가가 이뤄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박종화 (bel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팬들과 셀카까지…이태원에 뜬 '비키니 오토바이' 커플
- 이재명, 당대표 당선…DJ 넘은 역대 최고 득표율 '77.77%'(상보)
- "관 유리에 뿌옇게 습기가"...세살 아기는 왜 두 번 죽었나
- [르포]‘돼지 똥공장’에서 먹는 물이?…제주 가축분뇨자원화공장 가보니
- 전부인·내연녀 모친·동거녀, 줄줄이 '잔혹 살해'…그놈의 최후
- '우영우' 주종혁 "'권모술수'란 별명 자체가 저에겐 기적" [인터뷰]①
- "미국 4%대 고금리 내년 중 지속"…매파 가득 찬 잭슨홀
- [미술계 접수한 스타들]②'억' 소리나는 스타들의 그림값은 얼마
- 홍지원, 한화 클래식 제패하며 신데렐라 등극…2억5200만원 ‘대박’
- 이상운, 대장암·이혼 아픔 딛고 "응원에 다시 힘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