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전세 6개월 지났지만.. 10명 중 7명 "모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중산층 전세난 해소를 위해 심혈을 기울인 '공공전세주택' 추진 6개월이 지났지만 이를 아는 국민은 1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장 6년 거주 등 공공전세주택의 장점에도 대국민 홍보 미흡이 정책 실패로 귀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20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3.9%인 1542명이 정부가 추진중인 공공전세주택을 '모른다'고 응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20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3.9%인 1542명이 정부가 추진중인 공공전세주택을 '모른다'고 응답했다. 특히 세대별로는 20대가 82.4%로 가장 많이 모른다고 답했다.
공공전세주택은 지난해 정부가 11·19 전세대책의 핵심으로 발표한 모델이다. 무주택 3~4인 가구가 생활이 가능한 전용면적 50~85㎡, 방 3개 이상 중형 평형의 신축주택을 정부가 매입해 전세로 공급하는 상품이다. 시세 90%이하의 전세금으로 2년 거주에 재계약 2회를 통해 최대 6년간 거주할 수 있다.
공공전세주택을 설명한 뒤 입주자 모집에 참여할 의향을 묻자 93.1%인 1942명이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유주택자보다 무주택자 그룹에서 참여의향이 더 높았다. 거주지역별로는 인천이 94.7%로 가장 높았고 서울(94%), 경기(92.1%), 지방 5대광역시(90.8%) 순으로 나타났다. 홍보 역량을 높이면 사업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참여 의향 이유로는 응답자의 32%가 "시중 임대료보다 저렴할 것 같아서"라고 답했다. 이어 △월세가 아닌 전세형태라서(28.8%) △일정 주거 기간이 보장돼서(14.9%) △기존 공공임대보다 전용면적이 넓어서(9.9%) 등의 순이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으로 도입됐지만 아직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성을 안내한 뒤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상품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가 뒷받침 돼야 한다"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장훈 "막 사는 사람들"…의처증 남편+불륜 아내에 충격 [RE:TV]
- "잠수로 접근해 수영복 안에 손을"…수영장서 여중생 성추행한 30대男
- '테이큰' 리암 니슨, 파멜라 앤더슨과 생방송 출연 중 돌발 키스
- 선우용여 "혼수 0원 시집왔더니…결국 남편 빚 200억 갚아"
- 송은이 "CEO 월급은 300만 원…직원들 더 성장하길"
- 성공하자 찾아온 전처 "퇴직연금 내놔"…前공무원 남성 '억울'
- "왜 취하지?"…에너지 음료에 실수로 보드카 들어가
- "중고 양말 한 짝이 1200만원?" 누가 신었나 했더니…
- 나나, 속옷에 스타킹만 신었네…파격 당당 노출 [N샷]
- '업신여긴 대가' 치른 집안…"뱀신에게 받은 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