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중 '등록임대' 36만채.. 전체의 3% 불과
○ 집값 상승 원인을 임대사업자에게 전가
민주당 부동산특위는 28일 회의에서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환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임대사업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는 면제해주고 양도소득세도 대폭 깎아준 것 때문에 다주택자가 추가로 주택을 매입해 매물이 잠겼다”고 말했다. 김두관 민주당 의원도 이달 23일 “임대사업자가 아파트 값 폭등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이달 2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등록) 임대주택만 160만 채, 분당신도시 10개에 육박하는 주택의 임대사업자들이 그동안 특혜를 누려 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등록 임대주택은 줄어드는 추세다. 등록 임대주택은 지난해 6월 160만6686채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아파트에 대한 신규 임대사업자 등록을 막고 의무임대기간이 종료된 등록 임대주택을 자동 말소하기로 한 지난해 ‘7·10대책’ 이후 등록 임대주택은 줄어 지난해에만 46만 채가 자동 말소됐다. 임대사업자가 자발적으로 말소한 주택까지 고려하면 현재 등록 임대주택은 100만 채 정도로 추정된다.
○ 세제 혜택 줄여도 집값 안정에 도움 안 돼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 혜택을 줄여도 집값 안정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세제 혜택 상당수가 2018년 ‘9·13대책’과 지난해 ‘7·10대책’으로 폐지됐거나 축소됐기 때문이다. 현재 조정대상지역에서 새로 주택을 구입해 임대주택으로 등록해도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배제 등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등록 임대주택 중 아파트 비중이 비교적 낮아 이들이 매물을 내놓아도 시장에서 원하는 주택 공급으로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은 “세 부담을 늘려 매물을 팔도록 압박하는 방식은 한계가 분명하다”고 봤다.
오히려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주택이 줄어 세입자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등록 임대주택은 세입자가 원하면 12년까지 계속 거주할 수 있고 임대료 증액도 5% 이내라 전월세 시장에서 선호도가 매우 높다. 지난해 10월 집을 구경하려는 세입자들이 복도에 줄을 서 화제가 됐던 서울 강서구의 한 아파트도 등록 임대주택이었다.
성창엽 대한주택임대인협회장은 “공적 의무에 따른 정당한 세제 혜택을 특혜로 몰고, 아파트 비중이 낮은데도 정책 실패의 책임을 무고한 임대사업자 탓으로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 집단면역 어려워…독감처럼 함께 살아야”
- 노형욱 “새 주택정책 없다” 송영길 “수정 필요”…당정 부동산 혼선?
- 송영길 “봉하마을 참배 미루고…내일 부동산정책 리뷰”
- ‘극적 재기’냐 ‘토사구팽’이냐…기로에 선 이성윤
- [박제균 칼럼]대한민국 70년 번영 엔진 걷어차는 5년짜리 정권
- “불가리스 논란 책임지겠다”…이광범 남양유업 대표 사의
- 상속이 바꾼 주식 부자 판도…삼성家 1~4위 싹쓸이
- 노형욱 아들 ‘실업급여 먹튀’…정부 지원금 7000만원도 꿀꺽
- 김부겸 “학창시절 왕따 가해자였다…부끄러운 일” 고백
- ‘김일성 회고록’ 출간 논란에…北 “언론·출판 자유도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