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집 없어요' 집 사야 되나요..전세대란에 임차인 '패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상승폭을 확대해가는 모양새다.
특히 전세의 경우 매매가보다 2배 이상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가운데 전세난이 서울을 넘어 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24일 부동산114가 발표한 수도권 주간 아파트 시장동향에 따르면 매물 품귀현상이 이어지면서 서울의 전세가는 이번주 0.13% 상승했고, 경기·인천도 0.13%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6개 구에서 상승폭 커져
"전세 단기대책 마련 어려워..당분간 전세난 지속"
매매가도 상승폭 소폭 확대..중저가 위주로 매수세
24일 부동산114가 발표한 수도권 주간 아파트 시장동향에 따르면 매물 품귀현상이 이어지면서 서울의 전세가는 이번주 0.13% 상승했고, 경기·인천도 0.13% 올랐다. 전세가 상승세가 멈출 줄 모르고 이어지고 있지만 시장에 전세 매물의 씨가 마른 만큼 조급한 임차인들이 서둘러 계약에 나서는 분위기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6개 구에서 전주 대비 상승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노원구가 0.2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그 뒤를 송파(0.25%)·강남(0.19%)·강동(0.19%)·도봉(0.19%)·금천(0.17%)·관악(0.16%)·은평구(0.15%)가 이었다. 경기·인천 지역의 상승세도 뚜렷했다. 특히 광명 전세가는 0.18% 상승했고 과천도 0.17%, 고양 0.16%, 남양주도 0.16% 올랐다.
경기·인천 지역 아파트도 매매가가 0.09% 올랐다. 특히 용인이 0.15%, 과천이0.14%,고양이 0.13% 오르며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윤 수석연구원은 “과거 전세가격이 장기간 상승할 경우 실수요가 매매시장으로 이동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세가격의 안정 여부가 향후 매매시장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현미 “‘전세난을 호도하는 장관’ 보도 나올까봐 말 아꼈다”
- 남부지검장에 '적폐청산TF' 활동 이정수... '라임'수사 단독 총지휘
- [국정농담] '사면초가' 윤석열, 내년 대권으로 '국민봉사' 나설까
- 2030에게 날아든 '영끌 주의보'...지금 당장 필요한 것은? [영상]
- '월드클래스' 증명한 손흥민, 케인 제치고 연봉킹 되나
- 마스크 쓴 마네킹에 코로나 바이러스 뿜었더니…
- 아이린 '갑질논란' 당사자 맞다…'앞으로 신중히 생각하고 행동할 것'
- [영상] 유능한 파일럿, AI와 붙으니 4:0 패배...미래 전투는 드론이 지배한다
- 퇴임 후 정치인으로? 윤석열 '국민 위한 봉사 방법 고민'
- BMW, 10월 한정판 모델 공개…630i·M340i 시리즈 3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