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8월 증여비중 역대 최고..강남구는 절반 육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증여 비중이 지난달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전체 거래 건수(1만 2,277건) 가운데 증여 건수는 2,768건으로 그 비중이 22.5%에 달했다.
한 달 새 증여 건수는 줄었지만, 비중은 8.6%포인트나 증가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市 전체거래중 증여 비중 8.6%P↑
2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전체 거래 건수(1만 2,277건) 가운데 증여 건수는 2,768건으로 그 비중이 22.5%에 달했다. 이는 2006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역대 최고치인 것으로 확인됐다. 증여 건수가 올해 들어 가장 많았던 지난 7월(3,362건)의 증여 비중은 13.9%였다. 한 달 새 증여 건수는 줄었지만, 비중은 8.6%포인트나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달 서울에서 증여 비중이 높은 곳은 송파구(45.1%), 강남구(43.9%), 서초구(42.5%), 용산구(33.9%), 강동구(30.2%), 영등포구(27.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권의 평균 증여 비중이 지난 한 달간 43.8%에 이르렀다.
정부는 7·10대책을 통해 다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최고 세율을 3.2%에서 6.0%로 대폭 인상하고 양도세율도 대폭 올렸다. 이와 함께 일정 가액 이상을 증여하는 경우에도 취득세율을 12%까지 적용하는 지방세법 개정안도 내놨다. 강남권을 중심으로 규제를 피하기 위한 ‘막차 증여’가 법 시행 직전에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국토부에 따르면 8월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거래가 크게 줄었다.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이유도 있지만, 7월 말 새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시행되면서 ‘전세 낀 매물’의 거래가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집값은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8만 5,272건으로 7월(14만 1,419건)보다 39.7% 감소했다. 수도권(4만 3,107건)은 한 달 전보다 43.1% 줄었고, 특히 서울(1만 4,459건)은 45.8%나 줄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8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6,880건으로 7월(1만 6,002건)보다 57%나 감소했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 가뭄’은 9월 들어 더 심해지고 있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들어 20일 기준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계약일 기준)는 620건에 불과하다./강동효기자 kdhy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놀랍도록 독한 코로나... '100번 찔러도 90도 열에도 멀쩡'
- 김사랑, 사람이야 인형이야…20대야? 진짜 믿기지 않는 '절대미모'
- 안철수 '文팬덤, 하인되는 줄도 몰라' 서민 '홍위병 떠올라 무서워'
- 지각 피하려 계단 뛰어 올라가다 사망…법원 “산재 맞다”
- ‘영끌 안타깝다’ 말한 김현미…'최장수 국토부 장관' 꿰찬다
- “분노조절 장애 도지사” vs “X 묻은 개” 이재명 SNS 설전
- 휴대폰·절단기 들고 군부대 잠입한 탈북민 구속
- [국정농담] 청와대까지 탈탈 턴 최재형 감사원의 패기
- [속보]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어제 82명…38일 만에 두 자리
- 권성동 복당에 장제원 '눈물 나려 해…성동이형, 국가 위해 큰 역할 해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