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 4년 8개월만에 상승폭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 매물이 줄면서 8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4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최근 9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0.55% 올랐지만 7월(1.12%)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절반에 불과하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지난달 9.20% 올라 올해 34.11% 급등했고, 아파트 전셋값은 7.11% 상승해 올해 24.30%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8월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월 대비 0.68% 올랐다. 이는 2015년 12월(0.7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최근 9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올해 4월 0.11%에서 5월 0.06%로 상승폭이 줄었으나 6월 0.24%, 7월 0.45%, 지난달 0.65%로 3개월 연속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임차인 보호를 위해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제를 도입한 새 임대차 법이 시행됐지만, 집주인들이 4년 앞을 내다보고 미리 보증금을 올리면서 당장 전셋값이 급등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경기도 아파트 전셋값은 1.03% 올라 2015년 4월(1.32%) 이후 5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뛰었다.경기 지역 전셋값은 하남시(2.44%), 용인 기흥구(1.86%), 용인 수지구(1.72%) 등의 상승세가 강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0.55% 올랐지만 7월(1.12%)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절반에 불과하다.
부동산 관련 세제를 강화한 7·10대책의 후속 입법이 완료되고 8·4 공급대책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집값은 25개 자치구 전체에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감정원은 설명했다.
서울 집값 상승률은 노원구(0.67%), 영등포구(0.55%), 성동구(0.53%), 성북구(0.53%), 도봉구(0.51%) 등의 순으로 높았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0.91% 올라 전달(1.30%)보다 상승폭이 감소했다.
지방에서는 세종시 집값이 폭등하며 매매·전세 모두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지난달 9.20% 올라 올해 34.11% 급등했고, 아파트 전셋값은 7.11% 상승해 올해 24.30% 올랐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양승진 기자] broady01@naver.com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내 코로나19 위·중증환자 '세 자릿수'…2주 만에 약 12배↑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235명↑…누적환자 2만 명 넘어
- 6개월간 더듬고 때리고…해병대 신병의 지옥같은 군생활(종합)
- 행안부, 내년 예산 56조원 편성…1.3조원 증액
- 서울시 "사랑제일교회 9월초 구상권 청구…금액 검토 중"
- "文정부 장관들 부동산 재산 2년 만에 77% 상승했다"
- 檢, 삼성 불법승계 의혹 수사 마무리…이재용 기소 유력
- 대학생·최연소 최고위원…이낙연이 택한 박성민은 누구?
- 8월 수출 9.9%감소…6개월째 내리막길
- 수시로 더듬고 때리고…해병대 신병의 지옥같은 군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