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 '실거주 계약갱신 거부'..세입자 "임대인 정보 열람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앞으로 집주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갱신을 거부한 경우 전 세입자가 집주인이 실제로 실거주하지 않고 다른 이에게 세를 줬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주민등록법의 시행규칙 등을 개정해 집주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 갱신을 거부한 경우 세입자에게 계약갱신을 요구한 기간, 즉 향후 2년간 해당 주택의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정보를 열람하게 해 줄 방침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법무부는 2일 보도참고자료를 내고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가 도입된 이후 집주인이 집에 실거주한다는 이유로 세입자에게 계약 갱신 요구를 거절하는 경우 세입자에게 명확하게 정보 제공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정부는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주민등록법의 시행규칙 등을 개정해 집주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 갱신을 거부한 경우 세입자에게 계약갱신을 요구한 기간, 즉 향후 2년간 해당 주택의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정보를 열람하게 해 줄 방침이다. 현재 임대인과 임차인, 소유자, 금융기관에 이와 관련한 정보 열람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 대상을 갱신 거절 임차인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집주인이 제3자에게 임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면 손실을 감수하고 해당 주택을 2년여 동안 비어있는 상태로 두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허위로 갱신을 거절하는 사례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부는 전월세상한제를 통해 계약 갱신시 임대료 상한 폭을 전 계약의 5%로 제한하면서 지방자치단체가 5% 범위 내에서 다시 상한을 정할 수 있게 한 법 내용과 관련해 지자체별 상한이 마련되면 통일된 시기에 시행되도록 조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당 윤준병 "월세가 정상, 누구나 월세 사는 세상 온다"
- '시간당 100mm 물폭탄' 안성..산사태로 매몰된 50대 남성 사망
- "7월 임시회에 부동산 법안 처리 못하면 죄악"
- 조국, 국대떡볶이 대표 고소.."허위사실 알면서 법을 조롱"
- 트럼프 압박에..中 틱톡, 미국 사업 전면 매각 결정
- 박범계 "결국 임대인 얘기" ..또 윤희숙 때리기
- 의협 "의대정원 증원 중단하라"..14일 총파업 예고
- '싹쓰리'에는 우리 모두의 로망이 담겼다
- 4,400가구 아파트 '전세매물 0건'..마비된 임대시장
- 해외여행은 못가도 바캉스룩은 입어야지..나홀로 호캉스 파자마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