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점유율 하락 통계만 인용..'전월세 무한연장' 또 논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슈퍼 여당이 발의한 전월세 계약 무한연장법이 이번에는 통계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는 법안 발의 시 주요 통계로 삼은 자가점유율이 국토부가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주거실태조사에서 일부만 인용했다는 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락했던 기간만 일부 인용
상승한 2015년이후는 제외
커뮤니티서 "통계 왜곡" 비난
◇법안 취지 보니, ‘임차가구 늘고 있다’=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등재된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전월세 무한연장’ 임대차보호법 개정안 발의문에는 이런 내용이 적혀 있다. 개정안 첫머리의 제안 이유에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주택의 자가점유율은 2008년 56.4%, 2010년 54.3%, 2012년 53.8%, 2014년 53.6%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반면 임차가구 비율은 점점 늘어나고 있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는 중산층 또한 높은 주택 가격과 주거비 부담 문제로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음을 증명함’이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개정안 발의와 함께 배포한 보도자료에서도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임차가구의 비율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점점 더 많은 수의 가족들이 2년마다 한 번씩 이삿짐을 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즉 임차인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는 만큼 이들을 보호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문제는 법안 발의 시 주요 통계로 삼은 자가점유율이 국토부가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주거실태조사에서 일부만 인용했다는 점이다. 국토부 통계를 보면 2014년 최저점을 찍은 자가점유율은 이후 단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한마디로 임차가구는 계속 줄고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 법안 발의 시 통계는 2015년 이후의 수치는 뺀 것이다.
결과적으로 자가점유율이 상승하고 역대 최고 수준까지 오른 2015~2019년 통계를 외면하고 하락기였던 2014년까지의 통계만 인용한 것이다. 국토부 통계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법안 발의문에는 최신 수치가 제외된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부동산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가짜 통계를 적었다” “국민을 바보로 아느냐” 등 통계를 왜곡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신규 법안에 최신 통계수치가 빠진 것은 기계적으로 다시 발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교수)은 “통계자료를 자기 입맛대로 왜곡해서 발표했다면 국민들을 속이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사유재산권을 침해하고 위헌의 소지도 많은 법안을 발의하다 보니 나온 문제 같다. 최소한의 서민 보호 수준 외에는 시장 기능에 맡기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수 처먹을 땐.." 옥류관 주방장 막말에 정세현 "미국 때문, 할 말은 해야"
- 김연아, 래시가드로 뽐낸 시원시원한 몸매..청량美 한가득
- 김여정, '무력도발' 예고에 박지원 "해결할 사람은 文대통령..특사들 만나야"
- 송가인, 걸그룹 사이에서도 빛나는 미모..너무 예쁘잖아
- "내 딸로 생각했다"는 창녕 아동학대 계부 "욕조에 담근적 없어, 아직도 사랑해"
- 프라이팬에 손 지져지고 목줄 채워져도..학대 당한 9살 소녀는 일기를 썼다
- "왼쪽의 민경욱" 비판에 진중권 "실없는 소리..옥류관 주방장에 한 말씀 하라"
- '쉼터' 소장 사망시점 의혹 제기..곽상도 "정의연, 대충 적은 것? 알고 있던 것 그대로?"
- 울먹인 '동묘 길묘' 상인 "그르렁대 무서웠고 학대 안했다"
- 개성공단 철거→무력 도발→핵실험..北, 美대선판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