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15억 넘으면..경매시장서 '찬바람'
노도강은 평균 6.9명 '북적'
5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4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경매시장의 평균 응찰자는 1.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하락장이었던 지난해 2월(1.3명) 이후 1명대는 처음이다. 지난 1월 5.6명, 2월 11.8명과 비교해 대폭 줄어들었다.
대출규제를 강화한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이 아파트 경매시장 판도를 바꿨다. 시세 9억원 초과 시 주택담보대출비율이 축소되고 15억원 초과 시 대출이 전면 금지되자 고가 인기 아파트 입찰자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 강남 아파트값 하락세가 두드러져 가격이 더 내려갈 여지가 있다는 판단도 한몫한다. 반면 현금만 있다면 별다른 경쟁 없이 강남 아파트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됐다.
실제로 지난달 감정가 17억2000만원인 송파구 잠실 리센츠 전용 84㎡와 감정가 15억9000만원인 잠실 갤러리아팰리스는 응찰자가 1명뿐이었다. 두 매물의 낙찰가율은 101~102%로 감정가와 거의 비슷한 금액에 주인이 바뀌었다. 처음으로 경매시장에 나와 화제를 모았던 용산구 한남더힐(전용 178㎡)은 감정가가 36억4000만원으로 책정됐는데 지난달 2명이 경합해 38억8110만원에 낙찰됐다.
반면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 경매에 입찰자가 몰리는 분위기다. 서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아파트의 지난달 평균 응찰자는 6.9명이었다. 1월 2.6명, 2월 8.8명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다. 노도강 아파트는 낙찰률 72.7%, 낙찰가율 106.7%로 서울 강남권보다 활기를 띠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건 가운데 응찰자가 가장 많이 몰린 아파트는 노원구 중계동 한화꿈에그린 84.9㎡다. 감정가 5억6600만원인 이 아파트에 16명이 응찰해 6억1560만원에 낙찰됐다.
오명원 지지옥션 연구원은 "서울 강북권의 경우 강남3구와 달리 오히려 평균 응찰자 수가 증가하면서 낙찰가율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박윤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위례 '줍줍'에..현금 16억 들고 4000명 달려왔다
- 분양가 상한제 前 분양 활기..서울 8300가구 나와
- [MK 추천매물] 강남구 중심상업지 투자·수익형 빌딩 365억원
- 환금성 높은 소형평형 관심집중..'계룡 푸르지오 더 퍼스트' 1순위 청약
- HDC현대산업개발, 서울 강서 '우장산숲아이파크' 8일 오픈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