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전월세대책] 고액전세 지원 축소, 전세 쏠림현상 완화 목적
김참 기자 2014. 2. 26. 10:31
정부가 고액 전세거주에 대해 지원을 축소한다. 전세 쏠림현상을 완화하고, 매매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고 전세자금 대출 대상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주택기금의 전세자금 대출은 보증금 3억원 이하로 제한한다. 또 일반 시중은행의 전세대출에 대한 공적보증 지원은 보증금 4억원(지방 2억원) 이상에 대해서는 중단키로 했다.
전세 대출은 기본적으로 담보물이 없는 신용대출이다. 이 때문에 주택금융공사와 같은 보증 전문 기관의 보증서가 필요하다. 보증이 없으면 금리가 소폭 인상된다. 주택기금 전세금 지원은 올해 총 6조4000억원, 최대 15만가구까지 대출할 방침이다.
실수요자와 여유계층의 주택구입을 위해서는 1%대 금리 공유형 모기지와 디딤돌 대출을 적극 활용한다. 주택기금과 금융공사의 모기지를 통합한 '디딤돌 대출'을 통해 올해 최대 12만가구(11조원)의 구입자금을 지원한다.
지난해 10월 시범사업에서 큰 관심을 모았던 공유형 모기지 사업은 올해 1만5000가구를 신규로 지원한다. 또 지원 대상을 생애최초구입자에서 올해부터는 5년 이상 무주택자로 확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임대주택 공급 확대, 전세수요 분산 등으로 임대차시장 수급 불균형이 점차 해소돼 향후 전월세 가격이 소비자물가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비즈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종목 추천→30억 매수→정치 테마주 편입... 재미 본 경제유튜버 선대인
- “5400만원 에르메스백, 사실 원가는 200만원”… 중국발 폭로전 잇따라
- 함께 어린이날 보내고 나무 심고… 거리 좁히는 대한항공·아시아나
- [사람 살리는 대마]② 韓 의료용 대마 도입 7년째…보험 장벽 높고 임상시험도 어려워
-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
- [Why] 티메프 사태 후 ‘에이블리’만 1000억원 규모 투자 받은 이유는
-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 中, 보복은 끝나지 않았다… 美 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 삼성전기, 中 BYD에 전장 부품 공급
- [단독] 이재명 싱크탱크, 공약집서 ‘기본소득’ 빼고 ‘전생애 기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