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소유한 직장인 2명 중 1명, "나는 하우스 푸어"
현재 집을 가진 직장인 2명 중 1명은 스스로를 '하우스 푸어'라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 포털 잡코리아는 최근 국내외 기업에 다니는 남녀 직장인 532명에게 앞으로 부동산 전망에 관해 설문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설문 참가자 532명 중 주택소유주 277명에게 주택 구매 시 무리한 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에 시달리는 하우스 푸어인지 질문한 결과 2명 중 1명에 달하는 49.1%가 본인을 '하우스 푸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자신이 하우스 푸어라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6개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거주자는 55.3%가 '하우스 푸어'라고 답해 서울, 경기지역을 능가했다. 서울이 54.6%로 뒤를 이었고 경기 지역은 44.4%의 거주자가 자신이 하우스 푸어라고 답변했다. 수도권 및 6개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거주자는 22.6%의 거주자만이 본인이 하우스 푸어라고 답했다.
주택 소유자들은 전체 가계 소득 중 매달 주택담보 대출 이자 및 원금 상환으로 지출하는 금액이 평균 21%라고 답했다. 서울 지역에 사는 주택 소유자가 28%로 대출금 상환액이 가장 높았고 6개 광역시 거주자들이 24%, 수도권 및 직할시를 제외한 지방은 11%로 가장 낮았다.
집이 있는 직장인들은 하우스 푸어가 생기는 원인을 묻는 질문에 '정부의 불안정한 부동산 정책 때문'(50.9%)을 첫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개인의 과도한 투자 욕심 때문'(36.5%)과 '세계적인 경제 불황 때문'(11.2%)을 원인으로 꼽았다.
설문 참가자들은 향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모든 지역의 집값을 현재보다 더 내려야 한다'(40.3%)고 답해 '시장에 맡겨야 한다'(19.9%), '집값 부양책을 써야 한다'(12.7%)와 큰 차이를 보였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선관위 시연장에 나타난 부정선거론자들…“CCTV를 어떻게 믿냐” “지문인식도 뚫려”
- 분노한 경호처 직원들 “김성훈 사퇴하라” 연판장
- 이철우 “윤 전 대통령, 약주도 한 잔 안 하셔서 걱정”
- 마은혁,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헌법소원’ 주심 맡는다···가처분 인용 여부 촉각
- [단독]윤 파면됐어도…인천국제공항보안 사장에 국힘 출신 ‘낙하산 인사’ 추진
- ‘373명 탑승’ 마닐라발 LA행 필리핀 여객기 일본에 비상착륙···기내 연기 발생
- [속보] 윤석열, 11일 오후 5시 한남동 떠난다···파면 일주일 만에 사저로 이동
- ‘피의자’ 이완규 헌법재판관 자격 논란, 과거 수사받은 재판관은?
- [단독] 5411억→1300억, 폭싹 주저앉은 기초학력 예산 “교육격차 어쩌려고…”
- 양주 5살 남아 학대 후 숨지게 한 태권도 관장, 징역 30년 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