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수도권·지방 역전
1년새 수도권 11.8%p↓, 지방 8.6%p↑..DTI 규제 확대 여파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지난해 10월 제2금융권으로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를 확대한 이후 아파트 경매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에 역전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www.taein.co.kr)에 따르면 DTI 규제 확대 전 한 달간(2009년 9월12일~10월11일)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89.1%였지만, 1년 후 같은 기간의 낙찰가율은 77.3%로 11.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지방아파트 낙찰가율은 74.4%에서 83.0%로 8.6%포인트 올랐다.
이에 대해 디지털태인 측은 낙찰받은 부동산을 담보로 잔금을 대출받는 이른바 `경락잔금대출'의 대부분이 규제가 새롭게 적용된 제2금융권 중심이라 수도권 경매시장이 위축된 것으로 분석했다.
또 지방은 그간 시황이 부진했던 데다 풍선효과와 공급부족 현상이 겹쳐 낙찰가율이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은 대출 규제 이후 한 달 만에 3.8%포인트(89.1%→85.3%) 하락했고, 여기에 보금자리주택 사전청약, 부동산시장 침체 등이 더해지면서 올해 4월 들어 80% 밑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작년 말부터 부산, 울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시장이 살아나면서 올 들어 85% 안팎의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낙찰률에서도 수도권은 대책발표 이전 37.0%에서 1년 후 32.6%로 하락했으나 지방은 3.7%포인트 증가한 45.6%를 기록했다.
1건 당 입찰자 수도 수도권이 6.36명으로 0.3명 줄었지만 지방은 7.41명으로 3.27명 늘었다.
디지털태인 이정민 팀장은 "경매시장을 하락 반전시킨 것은 DTI 규제 확대지만, 낙찰가율의 낙폭을 키운 것은 어두운 집값 전망과 매수심리 악화"라며 "8·29 대책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격차가 좁혀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ljungberg@yna.co.kr
<긴급속보 SMS 신청>
<포토 매거진>
< M-SPORTS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신생아 학대 대구가톨릭대병원, 공식 사과영상 올려 "책임통감" | 연합뉴스
- [샷!] "우리 모두 폭싹 속았수다!" | 연합뉴스
- 48명 살해한 러 '체스판 살인마' "추가 11건 자백 준비" | 연합뉴스
- [尹파면] 탄핵정국이 키운 극단행동 불씨…쉽게 꺼질지는 미지수 | 연합뉴스
- [尹파면] 대통령 발목 잡은 '아군' 김용현 진술…'정치인 체포' 인정 | 연합뉴스
- 이틀새 여대생 2명 피살…이탈리아 또 뒤흔든 '페미사이드' | 연합뉴스
- [尹파면] "한국 부럽다"…외신 독자들 '민주주의 수호' 탄성 | 연합뉴스
- [길따라 멋따라] 가뜩이나 붐비는 공항…연예인과 승객 충돌 | 연합뉴스
- 로봇개·드론으로 제사음식 운반…달라진 中청명절 성묘 '눈길' | 연합뉴스
- 부부 합산 국민연금 月 500만원의 비결…3가지 '황금 열쇠'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