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신버블지역 가격 2배가까이 벌어져

김성환 2009. 8. 6. 16: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당·목동 등 구 버블세븐과 도봉·노원 등 신 버블지역 간의 3.3㎡당 매매가 차이가 두 배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뱅크가 8월 현재 버블세븐과 신버블의 3.3㎡당 매매가를 조사한 결과 버블세븐이 3.3㎡당 2043만원· 신버블이 1045만원으로 1.96배(998만원)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이는 지난 1월 보다 3.3㎡당 139만 원이 더 벌어진 수치다.

신 버블은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0.44%(1049만→1045만 원)가 하락한 반면, 구 버블세븐은 6.90%(1911만→2043만 원)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두 권역간 가격차는 더 높아지고 있다.

버블세븐지역의 경우 강남구가 3.3㎡당 3373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초가 2629만원, 송파가 2469만원, 목동이 2308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버블의 경우 노원이 3.3㎡당 123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도봉구가 1111만원, 강북구가 1107만 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두 권역을 통틀어 가장 비싼 강남구(3.3㎡당 3373만원)와 가장 저렴한 동두천(3.3㎡당 497만원)의 경우 3.3㎡당 2876만 원이나 차이가 났다. 이는 동두천에서 6채 이상은 가지고 있어야 강남구에서 1채를 살 수 있다는 결론이다.

동 지역으로는 구버블의 경우 저층 재건축 단지가 많은 강남구 개포동이 3.3㎡당 4960만 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압구정동이 4171만원, 잠실주공5단지가 있는 잠실5동이 3829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 버블은 도봉구 방학1동이 3.3㎡당 1482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창2동이 1327만원, 하계동이 1326만원, 중계동이 1290만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동산뱅크 장재현 책임연구원은 "당분간 구 버블세븐 지역의 가격이 계속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 두 권역 간의 차이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상반기 가격상승이 더뎠던 분당·용인·평촌 등으로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cameye@fnnews.com 김성환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First-Class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