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유관순만 기억할까? 숨은 독립영웅 남동순의 이야기

이정윤 2024. 10. 10. 13: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복회, 연극 '반디' 단체관람 및 토크콘서트 개최

[이정윤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연극 ‘반디’의 단체 관람과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광복회 경기도지부(지부장 김호동)와 극단 웃는고양이(대표 오수현)가 협력하여 진행했으며, 3·1운동의 상징적 인물 유관순 열사와 그녀의 동료 남동순 지사의 이야기를 담은 연극 ‘반디’를 주제로 삼았다.
ⓒ 광복회
지난 10월 9일 한글날,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연극 '반디'의 단체 관람 및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광복회 경기도지부(지부장 김호동)와 극단 웃는고양이(대표 오수현)의 협력으로 진행되었으며, 3·1운동의 잔다르크인 유관순 열사와 그녀의 친구 남동순 지사의 이야기를 다룬 연극 '반디'를 주제로 삼았다.

잊지 말아야 할 이야기, 수많은 '유관순'들의 이야기

17살 어린 나이에 '나'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 공동체의 아픔과 목마름에 눈을 뜬 유관순. 그녀는 남들보다 이상하게 밝고, 정직하며 정의로웠던 청년이었다. 이러한 유관순의 모습은 우리에게 사뭇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우리는 그녀의 남다름을 곱씹고 되새기며, 그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 이는 잊지 않기 위해 우리의 마음에 새겨야 할 이야기이다.

3.1운동에서 우리는 왜 유관순만을 기억할까? 유관순과 함께 헌신과 희생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몰랐던 숨은 열사, 독립운동가 남동순의 이야기를 무대에 선보이고자 이번 연극이 기획되었다. 연극 '반디'는 이 잊지 말아야 할 이야기를 통해 남다른 사람들의 고통과 희생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한다.
 연극' 반디' 출연자들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는 장면
ⓒ 광복회
연극 '반디'가 들려주는 한미고아원의 장례식의 숨겨진 사연

연극 '반디'의 배경은 서울의 한미고아원이다. 상주가 없는 장례식이 진행되는 가운데, 정치가와 사업가 등 돈과 명예를 위해 장례식에 참여한 사람들로 장례식장은 북적인다. 그러나 이들은 진정한 애도 대신 떠들썩하게 장례식장을 채우며 그곳을 떠난다. 사진 속에만 존재하는 할머니의 영혼은 이러한 모습을 그저 바라볼 뿐이다.

그때 한 일본인 할아버지가 장례식장에 들어선다. 그가 들어서자, 사람들은 독립운동가였던 할머니의 장례식에 일본인이 온 것에 대해 수근거리며 불쾌한 반응을 보이며 자리를 떠난다. 홀로 남겨진 할아버지는 어색한 한국말로 오래된 일기장을 꺼내 읽기 시작한다. 어느새 할머니의 영혼은 그의 옆에 조용히 앉아, 미소를 지으며 그가 읽어주는 일기를 경청한다.

독립운동가 할머니와 일본인 할아버지 사이에는 어떤 사연이 있었던 것일까? 연극은 이 두 인물의 과거를 통해 한일 간의 복잡한 역사와 그 속에서 피어났던 인간적인 연민과 이해를 그린다. 이러한 이야기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또 다른 역사 속의 진실을 조명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잊혀진 독립운동가의 삶과 헌신

남동순(1903~2010) 지사는 유관순과 함께 3·1 만세운동에 참여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이다. 남동순은 1919년 3월 1일, 조선의 독립을 외치는 만세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일제에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과 감시 속에서도 끝까지 독립의 의지를 꺾지 않았다. 유관순과 함께 투옥된 서대문형무소에서 그녀는 조선의 독립을 염원하며 버텼고, 출옥 후에도 그녀의 투쟁은 멈추지 않았다.
 남동순 (1903년 출생 ~ 2010년 4월 3일 사망). 일제강점기 여성 독립운동가. 3.1 여성동지회 회장으로 활동했으며, 1953년에는 한미고아원을 설립했다. 2005년 제1회 윤희순상, 국민훈장 목련상, 문화시민상을 수상한 바 있다.
ⓒ 광복회
출옥 이후, 남동순은 해공 신익희가 결성한 '7인 결사대'의 유일한 여성 대원으로 활동하며 만주와 연해주 독립군에 독립자금을 지원하고 국내 정보를 수집했다. 또한, 직접 무장 투쟁에 참여하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최전선에서 싸웠다. 1925년부터는 '남미령'이라는 가명으로 활동을 이어가며, 일제의 눈을 피해 끊임없이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해방 후, 남동순은 '독립촉성 애국부인단'을 결성해 군인과 경찰에 대한 원호 사업을 펼쳤으며, 서울 종로구 낙원동에 '한미 고아원'을 세워 전쟁 고아들을 돌보았다. 평생을 독신으로 지내며 어려운 이웃을 돌본 그녀의 삶은 조용하지만 깊은 울림을 남긴다. 남동순 지사는 단지 이름 없는 평범한 사람으로 기억될 수도 있었으나, 연극 '반디'는 그녀의 헌신적인 삶을 재조명하여 관객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잊혀진 영웅들을 기억하며 우리도 횃불을 들어야할 것

광복회 단체관람 및 토크콘서트를 진행시킨 광복회 경기도지부 김호동 지부장은 연극 '반디'를 함께 관람한 후, 이번 행사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우리 국민은 횃불을 든 독립영웅 유관순과 그 뒤에서 반딧불처럼 끊임없이 빛을 밝힌 평범한 남동순 들의 피와 땀으로 나라를 되찾을 수 있었다"며, "지금의 우리들도, 짧지만 격정적으로 살아가는 횃불 같은 국민과, 연약하지만 끊임없이 나라를 위해 노력하는 반딧불 또는 촛불 같은 국민들이, 나라를 나라답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광복회 경기도지부 김호동 지부장과 연극 ‘반디’의 연출 겸 작가인 손유진 씨가 토크 콘서트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 광복회
김 지부장은 독립운동의 역사가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로 남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독립운동사 등 우리나라 역사 이야기는 학술연구의 대상만이 아니라 예술과 문화로 승화해야 미래 세대에게 그 정신을 효과적으로 계승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문화적 접근이 젊은 세대에게 독립운동의 정신을 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강조하며, '반디'와 같은 작품이 그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내년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며, 역사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

광복회 이종찬 회장은 연극 관람 후, 이번 행사의 의미를 되새기는 소감을 전했다. 그는 "1919년 3·1 만세시위에 200여 만 명이 참가했지만, 우리가 기억하는 독립유공자는 수천 명에 불과하다. 그 나머지 대다수의 독립운동가들은 어디에 있는가 항상 궁금했는데, 오늘 이 연극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극 '반디' 토크 콘서트에서 광복회 이종찬 회장은 내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반디’의 추가 공연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전하며, 이번 행사가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기고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광복회
특히, 그는 이번 연극의 연출과 배우들의 열연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100년이라는 시간 차이를 한 무대에서 보여준 연출 기법과 배우들의 대사를 통해, 기미독립선언서의 내용을 관객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젊은 극작가 손유진 연출가에게 감사를 표하며 "아직 3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이런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주어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이종찬 회장은 내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반디'를 전국민이 관람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공연을 추진할 계획임을 약속했다. 그는 "이 연극이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잊혀져가는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행사가 단순한 연극 관람을 넘어 우리 역사와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남동순의 절규와 여운, 관객들이 전한 '반디'의 감동

공연을 관람한 관객들은 깊은 울림과 감동을 전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남겼다. 한 관객은 "단순한 과거 속 이야기를 꺼낸 역사극이 아니다. 두 순이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다"며 연기자들의 몰입 덕분에 관객도 마치 무대에 서 있는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객은 "남동순의 절규를 통해 영웅이 아닌 보통 사람들의 욕구를 잘 표현한 점, 일본인과의 애틋한 러브스토리를 통해 한일 간 화합의 가능성을 보여준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특히, 노인 동순의 창은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기며 몰입감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 연극 ‘반디’의 한 장면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는 모습은 독립운동가들이 품었던 뜨거운 독립의 열망을 생생하게 느끼게 한다. ⓒ 광복회
다른 관객들은 "이야기 구성과 배우들의 연기가 너무 멋졌다", "울고 웃으며 시간 가는 줄 몰랐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강추할 만한 작품"이라며 '반디'를 추천했다.
 연극 '반디' 포스터. 연극 ‘반디’는 10월 13일까지 대학로 드림시어터에서 공연된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연극 관람을 넘어,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이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 광복회
연극 '반디'는 오는 10월 13일까지 대학로 드림시어터에서 공연된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연극 관람을 넘어,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모두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