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 성향과 사회불안

조회 5982025. 3. 30.

정신의학신문 |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게으른 완벽주의자', '불안한 완벽주의자'라는 말을 들어 본 적 있으신가요?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해 오히려 일을 새롭게 시작하지 못해 게으른 모습을 보이거나 무언가를 시작할 때도 많은 불안감을 느낀다는 의미에서 발생한 단어입니다.

완벽주의(Perfectionism)는 자신이 이루기를 원하는 어떤 완벽한 상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 확고한 신념 또는 자신이 완벽하다고 믿는 높은 기준을 설정한 뒤 이를 달성함으로써 큰 성취감을 얻고자 하는 성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 성향도 그 선을 지키는 경우에는 모든 일에 열정과 의지를 가지고 임하는 사람으로 높은 자존감과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신경증적인 성향이 강하다면 매우 부정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과도한 목표 설정 때문에 성취에 대한 압박이 크고, 스트레스가 증가하며, 위기의식이나 소외감, 소진이나 불안 등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사진_ freepik

이러한 완벽주의적 성향이 대인관계와 결합하게 되면,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이고 싶어하는 성향으로 변화될 수 있고 이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라고 칭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타인에게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는 욕구가 중요한 특성이 되며, 그로 인해 사회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이들은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일 수 있는 행동을 촉진하는 ‘완벽주의적 자기 노력’과 자신의 불완전함을 은폐하는 행동을 주로 하게 되는데, 적정한 수준에서 사회적으로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며,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자연스러운 이미지 관리를 넘어서 타인을 기만하는 수준까지 이어지게 되면 대인관계 문제와 심리적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스스로가 지각하고 있는 결함이나 실수 등의 불완전한 모습이 공적인 상황에서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하 염려와 이를 은폐하고자 하는 행동은 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은 타인의 평가와 비판에 예민하기 때문에 자신의 단점이나 무능함, 실수와 실패가 드러날 수 있는 상황을 피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중첩되면서 사회불안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사회불안은 여러 사회적 상황 즉, 타인과 일상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 불안을 경험하고 이를 회피하고자 하게 됩니다. 그 정도가 지나치게 되면, 대인관계를 비롯해 학업 및 직장생활 등 삶의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에는 불안을 일으키는 학습적 요소를 끊어내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보통 어떤 개인의 생물학적 상태나 외상적 사건, 학습 반응 등을 통해 위험하지 않은 특정 상황과 불안 반응이 연관되면서 불안이 습득되는 매커니즘이 생겨나게 되는데,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연습을 하고, 비합리적 사고 패턴을 합리적 방식으로 고칠 수 있는 인지행동치료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신림평온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전형진 원장

[참고문헌] 이나희, & 이동귀. (2020).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몰입 및 자기은폐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3), 1347-1369.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