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자산 3.6억’ 신노년들 “재산, 나·배우자에 쓰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은퇴 후에도 경제활동을 이어가며 활동적인 삶을 사는 '액티브 시니어'가 늘면서 노인 소득 수준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신(新)노년층으로 불리는 이들 4명 중 1명은 자산을 상속하기보다 '나와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3년 노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인 가구 연간 소득은 3469만원으로 직전 조사인 2020년 3027만원보다 14.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인이라 생각되는 연령은 71.6세
독거노인 가구는 3년새 13%p 늘어
은퇴 후에도 경제활동을 이어가며 활동적인 삶을 사는 ‘액티브 시니어’가 늘면서 노인 소득 수준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신(新)노년층으로 불리는 이들 4명 중 1명은 자산을 상속하기보다 ‘나와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3년 노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인 가구 연간 소득은 3469만원으로 직전 조사인 2020년 3027만원보다 14.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자산 규모는 3213만원에서 4912만원으로 크게 늘었다. 부동산 자산 규모 역시 2억6183만원에서 3억1817만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동산 자산 보유율은 96.6%에서 97.0%로 올랐다. 조사를 시작한 2008년 부동산 보유율은 81.0%였다. 복지부는 3년 주기로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발표한다. 이번에는 노인 1만78명을 방문·면접 조사했다.
일하는 노인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7년 30.9%였는데 2020년 36.9%로 증가한 데 이어 2023년에는 39.0%로 늘었다. 기대수명이 상승하며 경제활동을 이어가는 노인 인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스스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은 평균 71.6세로, 2020년(70.5세) 대비 1.1세 늘었다.
자산 상속에 대한 인식도 크게 달라졌다. 응답자의 51.4%는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하겠다’고 응답했다. 특히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24.2%로 첫 조사 때인 2008년 9.2% 대비 15.0% 포인트 증가했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을 위해 쓰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는 비중은 21.3%에서 6.5%로 대폭 줄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베이비붐 세대는 지금까지 ‘끼인 세대’로서 부모를 부양했지만 노령층에 진입하면서 자녀에게 부양을 기대하기보다 자산을 본인의 노후에 쓰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독거노인 가구 비율도 급증했다. 2020년 19.8%였던 노인 1인 가구 비중은 2023년 32.8%로 13.0% 포인트 증가했다. 강은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이혼·별거 등으로 1인 가구가 된 채 노년층에 진입하는 인구가 늘었고, 자녀가 부양하지 않아도 (의료·돌봄 등) 재가 서비스가 확충돼 문제없이 홀로 생활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1인 가구의 경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4.2%로 부부가 함께 생활하는 가구(48.6%)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국장은 “경제 상태와 인식 및 가치관, 건강 상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된 노인의 모습을 확인했다”며 “베이비붐 세대가 노령층에 진입하면서 욕구도 달라진 만큼 대책을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소희, 혜리 악플러 의혹에 “내 계정 아니다” 부인
- 명태균 “김건희 여사 대화 2000장 더 있어…사회적 파장 100배”
- 한강, 노벨상 수상 후 “지금은 주목받고 싶지 않아”
- ‘이게 1만5000원?’ 비계 가득 ‘보쌈’ 환불 안 한 이유는
- ‘한국 때리기’ 동참한 푸틴, 북·러조약 발효 절차 돌입
- 반도체 신기술 전략 부재… 조직 문화는 치열함 없다
- 비즈니스 뭐하러 타요… ‘눕코노미’ 도입한 항공사들
- 이혼해도 남편은 반말, 아내는 존대?… 법원 영상 ‘눈살’
- “앗싸” “어떡해” 진짜 한국말이네… 나이지리아판 K드라마
- “일 빡세게 시켰다간 낙인” 삼전 조직문화 망친 ‘G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