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비의 피부 비결은 ‘이 과일’, 중국 4대 미녀들의 소울 푸드

조회 7212025. 4. 5.

황실의 진미에서 서민의 음식까지, 중국 4대 미녀들이 즐겨 먹었던 음식은 아름다움의 비결이자 그들만의 위로였다.
제국을 무너뜨릴 만큼 강렬했던 경국지색의 힘은 어쩌면 식탁 위에 있었을지도 모른다. 중국 미녀들의 소울 푸드에 얽힌 군침 도는 이야기.

ⓒDen

꽃도 부끄러워한 자태
양귀비 (楊貴妃)

양귀비는 가무에 능하고 뛰어난 미모로 17세에 당나라 현종의 아들 수빙왕의 비로 간택된 인물이다. 절세미인인 며느리에게 매료된 현종은 아들의 아내를 빼앗아 태진궁에 머물게 하며 사랑을 나누었다.

풍만하고 요염한 자태의 양귀비는 현종의 사랑을 독차지하기 위해 매일 새로운 화장법을 개발했으며, 현종은 그녀를 "말을 이해하는 꽃"이라는 의미의 '해어화'라 칭하며 "꽃도 그녀의 아름다움 앞에서는 부끄러워한다"라고 찬미했다. 그녀의 미모와 매력은 한 제국의 황제마저 사로잡아 정사를 소홀히 하게 만들 정도였으니,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여인의 매력이 아닐 수 없다.

ⓒGemini

천리를 달려온 황실의 진미
여지 (荔枝)

양귀비가 가장 즐겨 먹었던 달콤하고 향기로운 과일이다. 그녀의 여지 사랑은 너무나 깊어 계절에 상관없이 먹고 싶다고 하면, 신하들이 광둥성에서 장안(현재의 시안)까지 10만 8천 리 거리를 말을 타고 며칠을 달려 신선한 여지를 공수해 왔다. 이 붉은 과일은 맛이 뛰어날 뿐 아니라 피부 미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어, 양귀비의 빛나는 아름다움을 유지해준 비결로 알려져 있다.

ⓒDen

물고기마저 황홀케 한 강가의 미인
서시 (西施)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에서 나무장수의 딸로 태어난 서시는 복숭아꽃처럼 맑고 청아한 미모를 지녔다. 강가에서 빨래를 할 때면 그녀의 아름다운 자태가 물에 비쳐 물고기들이 헤엄치는 것을 잊고 움직이지 않아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고 하여 '침어(沈魚)'라는 별명을 얻었다.

심장병으로 인해 가슴 통증이 있을 때마다 얼굴을 찡그리는 버릇이 있었지만, 이조차도 너무나 아름다워 마을의 여인들이 앞다투어 따라 했다는 일화는 그녀의 타고난 미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서시의 유일한 단점이라면 당시 유행하던 전족(纏足)과 달리 발이 조금 크다는 것이었지만, 이를 가리기 위해 항상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치마를 우아하게 입었다고 한다.

ⓒGemini

그리움을 담아낸 원형의 정성
서시 단원병 (團圓餠)

이 떡은 서시가 오나라에 있을 때 고향과 가족을 그리워하며 외조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음을 담아 그녀가 직접 개발한 음식이다. 밀가루 반죽에 실처럼 가늘게 썬 무를 넣고, 파와 고추, 돼지고기를 소로 사용해 납작하게 빚어 구운 이 떡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매콤달콤하며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원형의 모양은 가족의 화합과 단란함을 상징하며, 서시의 깊은 향수와 정성이 담긴 이 음식은 오늘날까지도 중국 전통 요리로 사랑받고 있다.

ⓒDen

기러기를 떨어뜨린 비파 소리
왕소군 (王昭君)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던 왕소군은 흉노와의 화친을 위해 오랑캐의 땅으로 시집간 비운의 미인이다. 집안이 가난한 그녀는 후궁으로 입궁했으나 궁중화가가 뇌물을 받지 못해 그녀의 초상화를 실물보다 추하게 그려, 5년간 원제의 총애를 받지 못하다 흉노의 군주 호한야에게 정략결혼으로 보내졌다. 이국의 땅으로 떠나는 날, 비파를 연주하며 쓸쓸한 마음을 달래던 그녀의 미모와 연주에 반한 기러기가 날갯짓을 잊고 땅에 떨어졌다는 '낙안(落雁)' 설화는 그녀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이야기이다.

ⓒGemini

타향살이 달랜 따뜻한 위로
소군오리 (昭君鴨)

왕소군이 흉노에 시집간 후 현지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거의 먹지 못하자, 그녀를 위해 궁중 요리사들이 특별히 개발한 요리다. 당면과 다양한 야채를 넣은 이 오리국은 한나라의 풍미와 흉노의 식재료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퓨전 요리로, 왕소군이 이 음식을 즐겨 먹기 시작하면서 그녀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현재 내몽골의 후흐호트(呼和浩特)에서는 이 '소군압'이라는 오리찜이 전통 요리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Den

달마저 숨게 한 매혹
초선 (貂蟬)

초선은 역사적 기록은 많지 않지만 『삼국지』 등의 고전 작품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미인이다. 한나라의 대신 왕윤의 수양딸로 용모가 빼어나고 노래와 춤에 뛰어났던 그녀는 어느 저녁 화원에서 달을 감상할 때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자 왕윤이 "너의 미모에 부끄러워 달이 구름 뒤로 숨었다"라고 칭찬하여 '폐월(閉月)'이라 불리게 되었다.

ⓒGemini

지략이 담긴 한 접시
초선두부 (貂蟬豆腐)

초선과 관련된 대표적인 음식으로, '미꾸라지가 두부 속을 누빈다'는 의미의 '니구전두부(泥鰍鑽豆腐)'라고도 불린다. 청나라의 유명한 식도락가 원매(袁枚)가 이 음식의 상징성을 세상에 알렸는데, 하얀 두부는 미인 초선을, 미꾸라지는 교활한 동탁을 의미한다. 부드럽고 순백의 두부와 그 속을 오가는 검은 미꾸라지는 초선이 동탁과 여포 사이를 오가며 펼친 지략과 미인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요리이다.

ㅣ덴 매거진 Online 2025년
에디터 김진우(tmdrns1111@mcircle.biz)


Copyright © 저작권자 © 덴 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타임톡
타임톡이 제공되지 않아요

해당 콘텐츠뷰의 타임톡 서비스는
파트너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